[발언대] 소형댐으론 홍수조절 어렵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 7일 있었던 건설교통부와 환경부의 국정개혁보고 이후 영월댐 건설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남한강과 수도권의 수해 예방을 위해 영월댐이 꼭 건설돼야 하는지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어느 환경단체는 동강의 비경을 파괴하는 영월댐 건설 대신 산림녹화를 통한 녹색댐이나 여러개의 소형댐 건설, 하천정비, 경작지 확보 등의 대안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환경단체가 주장하는 소형댐에 의한 한강의 홍수조절은 전문가 입장에서 볼 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남한강 본류로 들어오는 여러 지류의 상류에 다수의 홍수조절용 소형댐을 건설하자는 것인데 이는 댐 경제적인 측면에서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타당성이 없다.

홍수 단일 목적의 소형댐을 건설할 경우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저수지를 비워두어야 하므로 용수확보와 경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홍수조절용량 2억t인 영월댐과 동일한 홍수조절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용량 1천만t인 소규모댐 20여개가 필요하나 이들 댐의 개발 적지를 찾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 비용도 홍수조절을 위한 영월댐 건설비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엄청나다.

뿐만 아니라 20여개의 소규모 댐을 건설할 때 생기는 수몰면적 또한 영월댐의 경우보다 훨씬 넓어 자연환경의 훼손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댐 건설의 역사가 종래의 단일목적댐 건설 개념에서 다목적댐 건설 개념으로 바뀌게 된 것은 바로 댐의 이러한 경제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최근 90, 95년의 한강유역 대홍수때 북한강의 소양강댐과 남한강의 충주댐이 10억t이 넘는 홍수량을 조절하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수도 서울의 홍수피해는 상상을 초월했을 것이다.

이렇듯 다목적댐의 홍수조절 위력은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

그런데 남한강 중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충주댐은 유역 면적이 6천6백50㎢로 소양강의 약 2.5배에 달하나 홍수조절 용량은 약 5.2억t으로 소양강의 7.7억t보다 작다.

따라서 충주댐만으로 상류에서 밀어닥치는 홍수량을 조절해 남한강과 수도권지역의 홍수피해를 막기는 역부족이다.

확실한 대안은 충주댐 상류에 홍수조절 목적의 대형댐 건설이 필수적이다.

환경단체가 대안으로 주장하고 있는 하천정비와 내.배수시설 확충, 저류지 확보, 녹색댐 건설 등은 홍수조절능력이 제한적이어서 수도 서울의 홍수 재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홍수조절용 소형댐의 건설제안은 댐공학의 기본에 어긋나는 발상이라고 본다.

영월댐 건설 여부에 대한 논란이 홍수조절문제에 너무 무겁게 맞추어지고 있어 불안한 마음이다.

영월댐의 건설은 한강하류의 홍수조절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21세기에 예상되는 수도권의 물 부족을 해결할 중요한 열쇠임도 잊어서는 안된다.

물 절약 등의 용수 수요관리 대안만으로 물 부족을 해결하기에는 우리가 개발해놓은 수자원의 절대량이 아직 충분치 못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총동원하면서 수자원 개발을 계속함과 동시에 물 수요관리정책을 적극적으로 병행해 나가야 우리 눈앞에 닥친 물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윤용남 고려대 교수. 토목환경공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