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보안관’ 3000명 양성하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11일 ‘국가사이버 전략회의’를 열고 기업의 정보 보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관’ 3000명을 양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 사이버 위기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7월 발생한 분산서비스 거부(DDoS·디도스) 공격 같은 사이버 테러 상황이 벌어질 경우 국가정보원이 사령탑 역할을 맡아 상황 분석과 경보 발령, 외국과의 공조 등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악성 코드에 감염된 ‘좀비 PC’를 제거하는 등의 사이버 환경 정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악성 프로그램 삭제요청권 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가칭 ‘사이버방호사령부’를 신설해 보안 인력을 양성하고 긴급 상황에 대비하기로 했다.

사이버보안관은 이번 대책의 핵심 역할을 한다. 중·고교 시절부터 해킹대회에 입상한 영재들을 일부 대학에 신설할 정보보호학과 재학과 군 복무를 통해 전문 인력으로 양성할 제도 기반을 내년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디도스 대란에서 보듯이 한국의 우수한 정보통신 환경이 사이버 공격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어 한나라당과 당정 협의를 통해 종합 대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