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美國 다시 그리기' 김장희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그림이든 음악이든 '되새김질' 은 고된 노동이다.

좀 거창하게 말하자면 씹을 음식에 대한 철저한 파악과 자신의 소화기관에 대한 자신감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6일부터 갤러리 인 (02 - 732 - 4677)에서 열리고 있는 김장희 (55) 씨의 개인전은 '다시 그리기' 라는 나름의 개념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해석해 냈다.

김씨는 '아메리칸 아이콘과 타이타닉' 이라는 부제 아래 재스퍼 존스.프랭크 스텔라.앤디 워홀.케네스 놀런드 등 미국 현대미술의 대표작가들의 그림을 밑그림으로 삼은 후 자디잔 붓 터치로 화면을 가득 메워 원화 (原畵) 를 덮어버리는 작업을 보여준다.

그 결과 완성된 작품은 전혀 원작의 정체를 눈치챌 수 없는 점묘화다.

그는 이 방식을 통해 '세계화' 라는 개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미술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규격 자체가 '글로벌 스탠다드' 를 염두에 두고 끊임없는 변화를 요구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김씨는 '세계화' 란 결국 '미국화' 가 아닌가, 우리가 따라잡으려 하는 현대미술의 조류 역시 철저히 미국 중심의 흐름이 아닌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컴퓨터그래픽 등 첨단기술을 동원한 블록버스터의 대명사 '타이타닉' 이 그의 집요한 붓놀림으로 인해 자취를 감추는 것은 바로 이러한 '규격' 의 소멸이다.

시각적으로도 그의 회화는 아름답다.

'아침 바다 갈매기가 금빛을 싣고' 파도 위를 날아가듯 미세한 물결의 떨림을 연상케하는 얇은 차일의 느낌이다.

김장희씨는 이화여대 미대와 일본 교토대 회화과를 졸업했다.

9일까지.

기선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