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용 백신값 급등…보건소 접종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올해부터 보건소에 필요한 소아용 백신을 자치단체가 직접 구입하게 된 틈을 타 제약업체들이 백신값을 담합 인상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당 2천5백30원이던 DPT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값이 올해에는 6천5백원으로 오르면서 보건소마다 백신구입 예산이 부족해 비상이 걸렸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보건소의 경우 지난달초 DPT 백신 ㎖당 적정가격을 3천원으로 정하고 입찰을 실시했으나 제약회사들이 대부분 6천6백원을 요구해 유찰됐으며, 이달에 실시된 2차 입찰도 같은 이유로 유찰됐다.

강원도 강릉시도 지난주 1, 2차에 걸쳐 경쟁입찰에 나섰으나 2개 업체가 시의 예정가보다 훨씬 비싼 6천5백원과 6천6백원을 써내 유찰됐다.

일선 보건소 관계자들은 "보건복지부가 조달청을 통해 백신을 구입해 각 보건소에 지급하던 것을 올해부터는 보건소에 예산만 지원, 직접 구입토록 백신구입 방식을 바꾸면서 제약회사들이 값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게 되자 제약회사들이 백신값을 마구 인상하고 있다" 고 지적했다.

특히 대구시 관계자는 "제약회사들이 지자체에 제시하는 납품가격이 대부분 같다" 며 담합 의혹을 제기했다.

보건소에 따르면 DPT 백신의 경우 지난해 ㎖당 2천5백30원이었으나 올해는 6천5백원으로 2.6배 이상 폭등했으며, 소아마비 백신도 8백25원에서 4천9백50원으로 6배, B형간염도 1천9백원에서 2천7백50원으로 1.4배씩 올랐다.이에 대해 제약회사들은 "지난해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백신 원료의 수입가가 올랐는데도 백신 가격을 올리지 못해 올들어 현실화시키는 것" 이라고 주장했다.

충북도의 경우 올해 예방접종 사업량은 연인원 기준 지난해 18만명보다 35% 가량 줄어든 11만7백32명으로 잡고 국비 지원액을 포함, 8천65만원을 확보했으나 백신 가격 상승으로 소요량의 54%만 구입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제약회사들이 가격을 내리지 않거나 정부에서 추가지원을 하지 않을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자치단체에서 돈을 내야 하므로 대상자를 줄일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전국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