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협 수사] 임원.조합장 내주초부터 본격 소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농.축협 비리수사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내주초부터 서울에선 중앙회 임원들이 대거 소환되고 지방에서도 조합장 이상의 간부들이 검찰조사를 받게 될 전망이다.

이미 참고인 자격으로 수차례 소환조사를 받았던 사람들중 일부도 피의자 신분으로 바뀌는 일도 벌어질 것 같다.

검찰은 당초 지방과 하부조직부터 다 뒤지기 시작해 마지막에 중앙회의 전.현직 고위 간부들을 엮어내는 수사 수순을 밟아왔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수사 초기에 "결국 일선창구 관계자와 최종 결재권자가 다치지 않겠느냐" 고 전망했다.

수사 착수 20여일이 지나면서 일선창구 비리 관련자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전국 각 지점.지청은 농.축협이 벌인 각종 수익사업과 관련해 금품수수, 업무상 배임.횡령 등의 비리 혐의자 상당수를 이미 적발, 연일 사법처리하고 있다.

중앙회에 대한 수사를 일찍 마무리할 경우 일선 지방의 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 수사속도를 조절해 왔던 검찰은 당초 예상했던 4월말보다 수사를 일찍 마무리짓기로 방침을 변경했다.

검찰 관계자는 19일 "다음주부터 중앙회 고위 간부들에 대한 조사를 본격화한 뒤 4월초 원철희 (元喆喜) 전농협.송찬원 (宋燦源) 전축협회장 등 최종 결재권자를 소환, 사법처리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 고 밝혔다.

그는 또 "농.축협에 예치된 돈이 대거 빠져나가는 등 수사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라도 속도를 낼 것" 이라고 말했다.

특히 농협의 경우 19일 열린 회장선거를 의식, 단위조합장 및 중앙회 간부들에 대한 소환조사를 일시 중단했지만 이제 그럴 필요도 없어졌다. 검찰은 현재 예금계좌추적 및 전국 사무실 압수수색, 관련자 소환조사 등을 통해 중앙회 임원들의 비리 혐의를 상당부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검찰은 금품수수.문서위조 등 추가적인 비리가 없는 부당대출 (업무상 배임혐의) 과 관련해서는 인신구속에 신중을 기한다는 입장이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