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연금 총대메자 자민련선 속앓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연금 확대실시 문제를 놓고 김종필 (金鍾泌) 총리와 자민련측이 고심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실무지휘자는 자민련 부총재인 김모임 (金慕妊) 보건복지부장관. 金총리는 실시 연기론을 잠재우고 '4월 실시' 를 밀어붙이고 있다.

그러나 '4월 시행' 이 후유증을 낳는다면 그 부담이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

79년 유신말기 부가가치세 도입 직후의 선거에서 공화당이 전체 표수에서 1.1%차로 진 사례가 자민련 당직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고 있다.

이 문제로 가장 바빠진 사람은 JP다.

金총리는 13일 국민연금관리공단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金총리는 국민회의 일각의 연기 거론에 대해 "참으로 유감스럽다. 정치하는 사람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모두 반성해야 한다" 고 개탄했다.

그는 "도대체 국민을 열심히 설득조차 해보았느냐" 며 관계자를 질책하고는 "장관을 중심으로 똘똘 뭉쳐 3개월 안에 끝내겠다" 는 굳은 의지도 내비쳤다.

오는 21일 金총리가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 등 청와대 수석비서관들과 골프회동을 갖는 것도 여권 내의 국민연금 불협화음을 정리하는 자리라는 게 자민련측 설명. 당초 국민연금 연기를 내심 기대했던 자민련은 '4월 실시' 결정 후 딴소리를 하지 않고 있다.

한 당직자는 "지역구 여론이 안좋아 개인적으로는 연기쪽" 이라면서도 "JP가 집안단속조차 못한다는 얘기가 나올까봐 함구중" 이라고 말했다.

김용환 (金龍煥) 수석부총재도 "선거만 생각하면 연기가 바람직하다" 고 토로했다.

그러나 그는 "국정운영의 입장에서는 당장의 성과가 없다고 안할 것이냐는 딜레마가 있다" 며 "국가적 차원에선 결국 갈 수밖에 없다" 고 'JP 지지' 를 선택했다.

그러면서 자민련은 '실시 연기' 를 언급했던 국민회의 쪽에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국민연금 후유증의 부담을 JP와 자민련에 넘기려는 게 아니냐는 의심인 것이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