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et Sketch] 오늘 벨트 하셨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8면

사람마다 편집증적으로 사 모으는 물품이 있다. ‘오늘은 꼭 사야지’ 계획하지 않아도 쇼핑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눈길이 가고 어느새 지갑을 열게 만드는 것. 나는 그게 좀 많아서 탈이긴 한데, 그중 하나가 벨트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노력 대비, 가격 대비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게 바로 이 벨트라는 액세서리가 아닐까 싶다. 물론 허리가 날씬한 사람들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얘기다. 선천적 유전자와 후천적 게으름의 문제로 허리부터 엉덩이까지의 선이 일자로 연결되는 나 같은 사람의 얘기다. 이런 사람들은 어떡하든 허리를 가려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늘 사로잡혀 있다. 그래서 셔츠를 내려서 허리선을 꼭 덮는다. 신경을 써서 고른 벨트가 장막 뒤로 묻히는 것은 당연한 일.

그렇지만 나는 꼭 벨트를 한다. 프랑크 소시지 가운데를 줄로 묶으면 비엔나소시지가 되듯, 벨트 때문에 허리가 아래위로 볼록해져도 벨트 하는 걸 빼먹지 않는다. 첫 번째 이유는 나 혼자 거울을 보며 히죽대는 한이 있어도 맘에 드는 것을 가졌다는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서다. 두 번째 이유는 표현하자면 ‘벨트를 통한 옷차림과 인간의 시선에 대한 예의’라고나 할까.

바지 밑위 길이가 짧아지면서 허리선이 자꾸만 아래로 처진다. 바지 허리가 골반뼈 바로 위로 아슬아슬하게 걸치는 디자인도 많다. 나는 이때, 바지 위로 팬티가 보이는 게 맘에 걸린다.

물론 이렇게 살짝 드러나는 팬티를 감각 있는 패션 연출로 이용하는 게 요즘의 유행이다. 잘 차려입은 바지 위로 치골근을 슬짝 가리며 삐져나오는 팬티는 확실히 지중해 연안의 ‘시에스타(낮잠 자는 시간)’처럼 여유와 섹시한 멋을 풍긴다. 그런데 나이 들어 출근 복장으로 팬티 디자인까지 고려하며 로라이즈 바지를 입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자, 이제 청바지든 정장바지든 정상적인 비즈니스 차림을 했을 때 벨트를 안 하면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몸을 곧게 세웠을 때는 문제가 없다. 몸을 앞으로 굽혔을 때가 문제다. 재킷도 짧고 셔츠도 짧고 그러면 뭐가 보일까. 바지 허리가 들리면서 팬티가 그야말로 ‘까꿍’ 하고 나타난다. 당사자는 모른다. 자신의 뒷모습을 볼 수 있는 인간은 없으니까. 하지만 지나가던 뒷사람의 민망함은….

어제도 지하철 안에서 떨어진 지갑을 줍기 위해 허리를 굽힌 우아한 모습의 ‘그녀’를 봤다. 등 뒤로 팬티가 쑥 드러났을 때, 지하철 안은 일순간 정적에 빠졌다. 서로 눈을 마주치지 않기 위해 애꿎은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리던 사람들의 숨은 진땀이란!

서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