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체벌대신 벌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 교육청이 신학기부터 체벌 대신 벌점제 도입을 학교에 권장하고 있다.

이미 실시 중인 학교도 있고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이대로 가다간 학교현장 대부분이 아무런 생각 없이 이 제도를 도입할 추세다.

벌점제 도입은 '체벌 없는 학교' 를 만들기 위한 고육책 (苦肉策) 이긴 하지만 그 발상이나 추진현황이 너무 비교육적이다.

사춘기 청소년을 집단적으로 모아 놓고 교육을 하자면 별의별 일이 다 일어날 수 있다.

교사로선 화가 나기도 하고 전체를 위해 소수 문제아에게 어떤 형식으로든 벌을 가하는 일이 생겨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가장 손쉬운 방법이 매를 드는 것이다.

교사도 인간인 한 감정을 억제하지 못한 교사의 매질은 또 다른 학교폭력으로 비화할 수도 있고 또 이를 감수하지 않는 것이 요즘 세태다.

학부모의 끊임없는 항의나 교사가 야단친다고 학생이 112에 신고하는 형편에 체벌이 그대로 존치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 대안으로 학교현장에서 검토되고 실시 중인 제도가 '당당봉' 과 벌점제다.

학생이 잘못을 저질렀다면 당당하게 벌을 받되 교사는 체벌의 기준과 원칙을 정하는 것이다.

매의 길이와 매맞는 부위를 한정해 절도있게 벌을 가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방식이 이번 새학기부터 도입될 벌점제다.

복장위반에서 무단조퇴에 이르는 벌칙사항을 점수화해 예컨대 20점 이상이면 사회봉사활동을 시키고 30점이 넘으면 학생부에 기록해 대학입시에 반영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벌칙의 점수화다.

이 방식은 언뜻 보면 매우 합리적이고 학생통솔의 손쉬운 방법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이 교육적이냐에 대해선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우선 발상 자체가 천박하다.

입시점수에 가산된다면 꼼짝 못하는 학생들의 약점을 파고 드는 게 아닌가.

학생통제를 위한 교사의 횡포라고 볼 수도 있다.

지금까지 교육이 입시위주의 점수화.서열화로 이뤄졌기 때문에 교육의 황폐화를 가져왔는데 이젠 벌주는 방식까지 점수화한다면 우리 교육의 현 위치는 어디에 와 있는가.

차라리 벌을 줄 바엔 당당하게 때리고 맞고 고쳐나가는 당당봉제가 훨씬 더 교육적이지 않은가.

더구나 벌점제를 학생부와 연결시키는 것은 학생부제 도입취지를 교육청과 학교 스스로 왜곡하는 일이다.

학생부란 학생 개개인의 인성과 적성을 파악해 기록함으로써 대학이 선발자료로 삼도록 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그런데도 교육청이 벌점제를 권장하고 학교 스스로 학생부를 벌점기록부로 이용한다면, 정책 당국자나 현장 교사 스스로가 그 취지를 훼손하고 망각하는 처사가 된다.

체벌 없는 학교가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체벌이 부득이 필요한 현실이라면 비교육적인 벌점제보다는 '사랑의 매' 가 오히려 교육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