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익은 총재회담…여야, 정지작업 분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 총재회담의 성사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가운데 각 당은 회담 전 정지작업에 분주하다.

국민회의는 총재회담을 정국안정의 전환점으로 삼으려 하고 한나라당은 이 기회에 얻어낼 것은 모두 얻어내겠다고 기세를 올리고 있다.

◇ 여권 = 국민회의와 청와대는 우선 경제회생을 위한 정치권의 초당적 협조선언을 총재회담의 최우선 의제로 올려놓고 있다.

민주노총의 노사정위 탈퇴와 고실업 등 사회안정을 해칠 지뢰가 널려 있어 이를 극복하는 데는 정치권의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정치개혁에 관한 합의 도출도 여권이 신경쓰는 대목. 김정길 청와대 정무수석은 "올 6월까지 정치개혁입법을 마무리한다는 내용이 합의문에 들어갈 것" 이라고 밝혔다.

여권의 고민은 야당에 어떤 '선물' 을 주느냐의 문제다.

최대 현안인 서상목 (徐相穆) 의원 사법처리 건은 표결 강행이 아닌 여야 합의처리 방침을 밝히는 선에서 의견접근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 한나라당 = 이회창 (李會昌) 총재는 떨떠름하다.

청와대로부터 아무런 화해 신호도 없기 때문이다.

4일 총장회담 이후 언론이 총재회담 택일만 남은 것으로 보도하자 신경식 (辛卿植) 총장은 5일 "아직 아무런 진전도 없는데 보도가 앞서간다" 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흥주 (李興柱) 특보는 "여당은 회담을 한 것만으로도 얻을 게 많지만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밥만 먹고 나오는 회담은 할 수 없는 것 아니냐" 고 했다.

한나라당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과거를 덮고 미래를 위해 협력하자는 합의다.

대선 이후 계속돼 온 '총풍' '북풍' '세풍' 과 여당의 대선자금 문제 등을 함께 묻고 넘어가자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정치사찰이다.

李총재가 당 고문.원로.부총재들을 만나 조언을 구하자 하나같이 정치사찰 중단 약속을 받아오라는 주문을 했다.

김진국.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