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시흥1구역, IMF로 사업지연 손해늘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울 시흥1구역 재개발 사업은 오래 끌기로 유명하다. 물론 이보다 더 오래 걸렸거나 중간에 구역지정 자체가 취소된 경우도 없지 않지만 시공사가 선정되고 사업시행인가 (94년 11월)가 난뒤 5년이 지났는데도 관리처분계획이 아직 인가되지 않아 아파트 분양이 늦어지고 있다.

73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후 85년 내부적으로 재개발 추진위원회가 구성됐던 것을 고려하면 14년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 지구는 임대 1천2백88가구를 포함, 총 4천98가구가 건설하는 대형 단지여서 수요자들이 관심이 높았던 곳. 하지만 사업지연으로 중간에 조합원 지분을 매입한 투자자들은 손해가 막심하다.

지난 93년 32평형 입주를 위해 이 지역 사유지 9평을 7천5백만원에 구입했던 한 조합원은 토지의 평가금액이 3천5백만원으로 떨어지고 조합운영비.이주비 대출이자.분양금 등을 포함 앞으로 아파트 입주까지 1억2천8백만원을 더 부담해야 해 총 투자금액은 2억원이 넘는다고 말한다.

32평형 일반 분양가가 1억5천2백만원으로 예정돼 있는 것을 고려하면 그동안 이곳에 묶인 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더라도 일반 분양분보다 5천만원 가량 더 비싼값에 아파트를 마련하는 셈이다.

조합측은 당초 95년중 아파트 공사에 들어가 98년 입주완료할 계획이었으나 통상 6개월에서 1년 정도 걸리는 이주작업이 4년 이상 걸렸으며 조합 내부의 갈등, IMF한파로 시공업체 자금난과 조합원 지분의 프리미엄이 사라지면서 갈길은 더더욱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계획대로 추진된다 해도 2003년쯤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조합.시공사간의 이해관계가 엇갈린 점과 조합원들간 내분이 사업지연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 조합원들의 재산가치를 산정하는 관리처분을 진행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일단 관리처분만 떨어지면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대단위 단지라는 잇점 때문에 투자가치도 올라갈것으로 전망된다.

염태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