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달부터 北해역서 남북공동 고기잡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우리 어선이 북한 어부를 태우고, 북한 서해안 일대 해역에서 고기잡이를 하는 남북협력사업이 이르면 다음달부터 시작된다.

통일부와 해양수산부는 시범조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한.일어업협정에 따라 어장 (漁場) 을 잃게 된 유휴선박을 본격적으로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18일 "수산업체인 ㈜해주가 신청한 남북 공동어로 작업이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 곧 사업승인을 내줄 방침" 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해주는 3월중 1백t급 어선 1척을 북한 해역에 투입,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 공동어로 작업을 벌일 예정" 이라며 "현재 남북한 양측 사업자간에 잠정합의한 어로구역은 북위 38.5~39.5도 서해상" 이라고 말했다.

해주는 1개월 정도의 시범조업이 끝나면 1백20t급 저인망 어선 6척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해주는 이미 북한측과 의향서를 체결, 지난달 8일 통일부로부터 남북경협사업자로 지정받았으며 현재 북한 광명성총회사와 계약서 작성을 위한 막판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해주는 광명성총회사와 합작투자 (풍어수산물합작회사 설립) 형태로 5년간에 걸쳐 모두 3백97만달러 (남측 75%, 북측 25%)가 들어가는 수산물 생산 및 판매사업을 벌인다는 원칙적 합의를 해둔 상태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측의 선박.어로기술과 북측의 어장.노동력을 활용한 남북간 첫 협력사업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며 "특히 한.일 어업협정에 따라 위축된 우리 수산업계에 돌파구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한.일 어업협정 발효로 2004년까지 3천척 정도가 남아돌 것으로 예상되는 유휴선박을 남북협력사업에 투입하는 방안을 강구 중인데 무상 대북지원보다 공동 어로작업 활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수산업협동조합 관계자들을 세차례에 걸쳐 중국 베이징 (北京)에서 북측과 접촉토록해 수산분야 공동협력사업 추진방안을 협의케 한 바 있다.

해주의 남태곤 (南台坤) 사장은 "서해안은 홍어와 조기.게 등 고급 어종이 풍부해 높은 수익성이 기대된다" 며 "어획물은 전량 국내에 반입해 가공.판매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풍부한 어종 등 수산업 발전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으나 어선.어로장비, 선박용 유류 부족 등으로 수산물 생산량이 90년대 중반의 1백만t에서 97년에는 65만t으로 급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