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삼성차 선인수 합의 배경과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기업 빅딜이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삼성과 대우가 3일 대우자동차의 삼성차 경영권 인수를 위한 협상절차에 합의함으로써 두 그룹간 빅딜에 가속도가 붙었다.

이는 또 종업원 고용보장 문제가 타협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가운데 본격적인 가격 협상이 진행중인 현대.LG간 반도체 협상등 다른 구조조정 작업에도 영향을 미쳐 한결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차 부산 공장이 재가동될 경우 해당 업체는 물론 납품업체의 피해도 줄일 수 있고 지역 경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예전에도 그랬듯이 완전 합의에 이르기 위해서는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정부가 서둘러 삼성 - 대우간 빅딜 합의을 이끌어낸 배경과 해결 과제 등을 정리해 본다.

◇ 삼성 - 대우 합의 배경 : 금감위가 두 회사의 빅딜에 적극 개입, 협상일자까지 못박은 것은 무엇보다 빅딜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우려되는데다 최대 현안인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전체 구조조정 일정에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우전자 노조가 지난달 22일부터 계속된 파업을 4일부터 중단, 조업에 들어가기로 한 것도 잇단 협력업체 부도를 막기 위한 결정이다.

금감위 관계자는 "빅딜 지연이 회생기미를 보이고 있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면서 "대상 업종이 한국 경제의 주력인 반도체.전자.자동차여서 경제적 파급효과는 물론 대외 신인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말했다.

결국 정부는 '자율적인 구조조정' 이 아니라 '정부개입에 의한 사업교환' 이라는 비판을 받더라도 조속히 마무리함으로써 조업을 정상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오는 21일로 예정된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 그리고 대통령 취임 1주년 (25일) 등과도 무관하지 않는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 남은 문제 = 무엇보다 삼성 SM5를 계속 생산하면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정산처리하는 문제를 놓고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양사는 일단 미래 가치를 현재 가치로 환산.정산하는 '현금흐름할인방식 (DCF)' 을 택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확한 '미래가치 산정' 을 위한 객관적 경영분석과 자산부채 실사 과정을 둘러싸고 적잖은 입씨름이 예상된다.

이밖에도 삼성측은 승용차는 물론 상용차 관련 부품회사를 넘겨주는 대신 대우 측으로부터 전자 및 전자부품을 일괄적으로 넘겨받는 이른바 '패키지 빅딜' 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절충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조정 문제 역시 여전히 숙제다.

일단 대우가 수용하지 못하는 삼성차 직원은 양해각서 체결 전까지 삼성이 떠맡아 전출.퇴직을 유도키로 합의했으나 이 과정에서도 반발과 진통이 우려된다.

김동섭.표재용.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