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씨 불출석땐 5일 동행명령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회 'IMF환란조사특위' 는 3일 한보사건 청문회 (4일) 의 증인으로 채택된 김영삼 (金泳三.YS)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 (賢哲) 씨가 나오지 않을 경우 5일 오전 동행명령장을 발부키로 결정했다.

金전대통령을 제외한 나머지 증인도 출석 예정일에 출석을 거부할 경우 다음날 오전에 동행명령을 받게 된다.

그러나 특위의 이날 결정을 들여다보면 나름의 고심을 읽을 수 있다.

특위는 그동안 YS 부자가 청문회 불출석 의사를 보내왔지만 딱부러진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여당 지도부의 눈치만 살피고 있었다.

자칫 YS쪽에 화해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여권 수뇌부의 큰 그림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철씨의 불출석 통보와 여권의 현철씨 사면논의 등에 대해 여론은 싸늘했고, 이같은 여론의 반발이 망설이는 특위를 예정된 수순으로 떼밀어간 셈이다.

이날 청문회에선 특위위원들이 조바심을 냈다.

김영환 (金榮煥.국민회의).정우택 (鄭宇澤.자민련) 의원 등이 "YS부자의 청문회 출석을 촉구하는 청문회 특별성명을 발표하고, 장재식 (張在植) 특위위원장이 상도동을 방문해 국민의 노도같은 불만을 전하고 증언을 요청하라" 는

주문을 할 정도였다. 하지만 특위 주변엔 여전히 고민스러움이 감지된다.

이날 특위는 金전대통령이 불출석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추후 논의키로 했다.

아직 YS증언에 대한 여권의 입장정리가 끝나지 않았음을 짐작케하는 대목이다.

張위원장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 등을 고려해 결정할 것" 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동행명령 등 현철씨에 대한 대응과는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이런 와중에 김상현 (金相賢) 국민회의 고문은 2일 민주계 중진인 한나라당 박관용 (朴寬用) 부총재 및 김무성 (金武星) 의원과 만나 "김대중 대통령의 뜻은 YS부자를 증언대에 불러세우는 게 아니다. 동행명령 등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지 말라" 는 뜻을 전했다.

듣기에 따라선 '동행명령→검찰고발' 이 단순한 통과의례일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그는 최근 김대중 대통령을 만나 대 (對) 상도동 전략을 협의한 바 있다.

더구나 상도동측은 "여권에 '당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 이라는 입장이어서 여권을 더욱 고민스럽게 하고 있다.

이래저래 YS부자 불출석에 대한 여권의 대응조치 강도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이상렬.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