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자산매각] 튼튼한 재무구조 확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앙일보가 삼성계열 분리를 위해 본사사옥까지 매각하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가운데 2일 금융감독원은 삼성생명의 중앙일보 보유 부동산 매입을 승인했다.

이는 삼성그룹으로부터의 계열분리를 전제로 한 조건부 승인조치며, 함께 추진 중인 공정거래 차원에서의 계열분리작업이 끝나면 삼성으로부터의 중앙일보 분리 작업이 완결되게 된다.

그동안 중앙일보와 삼성이 추진해온 분리작업의 핵심은 ^소정의 법적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하며^매각자산의 평가에 공정성을 기하고^중앙일보 자신이 철저한 자구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발판으로 홀로 설 수 있는 튼튼한 재무구조를 갖추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19일 보험법시행령 16조에 따라 금융감독원에 부동산매입 신청을 냈고, 2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계열분리를 신청했다.

중앙일보는 또 자산매각대금 모두를 차입금상환에 쓰겠다는 각서를 함께 첨부했다.

삼성생명측에 매각키로 한 중앙일보 자산 일체의 가격산정은 2개 복수감정기관의 감정결과 중 낮은 평가액인 한국감정원의 감정을 택했으며, 현 사옥의 일부를 재임대하는 가격도 주변 시세에 따라 결정키로 했다.

한편 중앙일보로서는 향후 독자경영전략 강화 차원에서 임차면적을 기존보다 30% 이상 줄이기로 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 문창현국장은 "지난해 일부 언론사들이 모그룹에서 부채를 떠안는 방식으로 계열분리를 진행한 것과는 전혀 다르다" 며 "매입가격뿐 아니라 중앙일보 사옥의 재임대 때 임대료까지 주변 시세에 맞춰 결정되는 만큼 삼성생명 보험가입자의 불이익도 없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중앙일보의 본사 사옥 및 가락동 사옥 매각은 선진국에서 거래 쌍방의 비용절감을 위해 사용되는 '매각 후 재임대 (Sale & Lease - Back)' 방식으로 이뤄진다.

매각 후 재임대 방식은 미국.일본 등에서 구조조정의 방법으로 많이 쓰여지는 것으로 미국에서는 80년대 중반 시티코프.뱅크 아메리카.골드먼 삭스 등 대표적인 금융회사들도 재무구조개선을 위해 본사사옥을 매각한 뒤 재임대해 쓴 바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삼성생명이 중앙일보에 지급하는 계약금.중도금 등에 대해 공정위로부터 계열분리 승인이 나기 전까지는 삼성계열회사에 대한 부채상환 외의 목적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엄격한 감독을 해나갈 방침이다.

이정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