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식탁안전' 총력대처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각종 유해식품이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유통과정의 감시체제 부재 (不在) 와, 관련 정보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중금속.미생물.농약등에 의한 식품오염은 그동안에도 부단히 문제가 제기돼 왔으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과정을 훑어보면 사실상 무방비에 무대책이라는 사실이 금방 드러난다.

더구나 채소의 경우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 활용이 늘어나면서 사철 생산체제가 갖춰져 있으나 재배단계에서 무슨 농약을 쓰는지, 출하단계에서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약품을 쓰는지 알 수 없고, 시장반입 과정에서도 잔류농약 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전혀 예기치 않았던 환경호르몬 문제까지 등장해 밥상을 대하는 국민들은 그저 불안하기만 하다.

생산자들은 생산자들대로 환경호르몬이 함유된 농약은 어떤 것인지, 일반 농약은 어느 정도까지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국민들은 무엇을 먹으면 괜찮고 먹어서 안되는 것은 무엇인지 종잡을 수가 없는 것이다.

더구나 최근에는 교역 확대로 외국산 식품들이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으나 이 역시 오염여부에 대한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콩 등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유해 여부를 놓고 세계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우리는 이 분야에 대한 정보도 거의 백지상태에 가깝다.

유전자변형 방식으로 재배된 이 콩은 일반 콩의 절반값밖에 안돼, 여과절차 없이 대량으로 수입돼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시중의 두부.된장.간장 등은 대부분 유전자변형 콩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 두부나 된장을 먹어도 괜찮은지 어쩐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우리는 밥상을 대하고 있는 셈이다.

유전자변형 농산물 문제와 관련, 오는 22일부터 콜롬비아에서는 '복제 (複製) 생물 거래규제 의정서' 를 마련하기 위한 국제회의가 열린다는 외신보도도 있었으나 우리는 여기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알려지지 않고 있다.

최근의 한 분석에 따르면 인구 10만명당 식중독 환자수가 미국은 7명, 일본 33명인데 비해 우리는 3명인 것으로 조사됐으나 우리가 이처럼 적은 것은 보고체계의 미비 때문이다.

부끄러운 일이고, 실상파악 부재와 정보부족이 우리를 더 불안하게 하는 것이다.

더구나 대상은 우리가 늘 먹고 있는 식품문제다.

결국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총력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긴요하다.

정부 관련부처는 물론 민간기구까지 망라하는 체제를 갖춤으로써 국민들의 '밥상' 을 보호해야 한다.

때마침 중앙일보가 이번주부터 이 문제와 관련,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과 함께 식품안전캠페인에 나섰다.

범국가적 캠페인이 돼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