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중위 살해의혹 수사 난항…김중사 혐의 부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판문점공동경비구역 (JSA) 북한군 접촉사건을 수사중인 국방부 특별합동조사단 (단장 楊寅穆중장) 은 10일 김훈 (金勳) 중위가 타살됐을 가능성에 대한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金중위 살해의혹을 받고 있는 김영훈 (金榮勳) 중사가 혐의를 완강하게 부인하는데다 소환된 참고인 (전역병) 10명과 내사자 2백여명에 대한 혐의점도 드러나지 않고 있어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천용택 (千容宅) 국방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열린 국회 국방위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군 당국의 축소.은폐 의혹을 거론한 반면, 여당의원들은 사건이 전 (前) 정권에서 일어났음을 상기시키며 이번 사건과 96년 4.11총선 때 북한의 판문점 무력시위와의 연관의혹을 제기했다.

◇ 군수사 = 楊단장은 기자들과 만나 "김영훈 중사가 국가보안법 위반 부분은 신문에 잘 응하고 있으나 金중위 사망사건에 관련됐다는 진술은 받아내지 못했다" 고 밝혔다.

또 "지난 2월 귀순한 변용관 상위가 접촉했다고 지목한 7명중 3명은 가명으로 확인됐고 나머지 4명도 대공용의점은 없어 수사를 종결했다" 고 말했다.

천용택 장관은 국방위에서 "군 정보당국이 지난 2월 귀순한 북한군 변용관 상위로부터 일부 한국군이 북측과 접촉했다는 진술을 확보했으나 혐의점이 없어 자체 종결했다" 며 "당시 정권교체기여서 직무유기일 가능성이 있어 이 부분을 조사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千장관은 "지난 4.11총선 당시의 판문점 무력시위 사건도 판문점에서의 북한 접촉과 관련이 있는지도 내부조사를 벌이고 있다" 고 말했다.

국방부는 공동경비구역내 경비중대의 한국군 병력 전원을 교체키로 했다.

◇ 정치권 공방 = 한나라당은 이날 千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박지원 (朴智元) 대변인은 "千장관에 대한 김대중 (金大

中) 대통령의 재신임은 여전히 유효하다" 고 밝혔다.

이영종.최익재.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