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휴대폰 제조 손 떼기로

중앙일보

입력

SK텔레콤이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업에서 손을 뗀다. 휴대전화기 자회사인 SK텔레텍('스카이' 브랜드)을 팬택 계열에 팔기로 했다. SK텔레콤은 3일 이사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SK텔레콤은 SK텔레텍의 지분 89%(나머지 11%는 우리 사주) 중 60%를 팬택에 넘길 방침이다. 매각 대금은 2000억원 안팎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이 최근 중국 우루무치에서 착공한 휴대전화 생산공장(연산 80만 대)도 팬택 계열로 넘어가게 됐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날 "팬택과 전략적 제휴를 위해 SK텔레텍의 지분 29%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며 "팬택의 이사회에도 사외이사 자격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팬택 계열 관계자는"SK텔레텍은 팬택앤큐리텔이 중심이 돼 인수할 것"이라며 "인수 금액은 SK텔레텍에 대한 실사를 거쳐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단말기 사업을 접는 대신 앞으로 글로벌 통신사업과 엔터테인먼트 콘텐트 사업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우선 국내 최대규모(700억원대)의 엔터테인먼트 펀드를 만들기로 했다.

SKT 측은 "3개 창투사와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고 영화.드라마.음반 등에 투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 연말 미국에서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을 하는 것을 시작으로 글로벌 통신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최근 미국 인터넷서비스회사(ISP)인 어스링크와 합작법인 'SK어스링크'를 설립했다.

SK텔레텍은 1998년 출범했다. 그러나 대주주인 SK텔레콤이 99년 신세기통신을 인수해 이동전화 시장점유율이 50%를 넘으면서 자회사인 SK텔레텍의 단말기 내수 생산량이 연간 120만 대로 묶였다. 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내건 기업결합 승인 조건이었다.

SK텔레텍은 지난해 652억원의 매출에 44억원의 경상이익을 올렸다. 국내 단말기시장 점유율은 99년 4%대에서 지난해 말 7%대로 늘었다.

이원호.이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