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신설 '역사스페셜',다큐적 분석.사극적 재연 조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역사를 가장 쉽게 전달하는 방식은 재연이다.

당시의 건물이나 풍경을 되살리고 사람들에게 옛날 옷을 입혀 이야기를 이끌어가면 시청자들은 어려움 없이 과거를 이해할 수 있다.

사극은 이런 방식의 전형이다.

옛날을 되살리는 또 하나의 길은 다큐다.

현재 남아있는 흔적들을 찾아가 흩어진 조각들을 짜맞추면서 상상력을 동원해 사실 (史實) 을 추론하는 것이다.

KBS가 '일요스페셜' 과 함께 양대 간판 교양 프로로 살려간다는 의욕으로 이번 가을 개편에 신설한 '역사스페셜' (1TV 토 밤8시10분) 은 이 두가지 방법을 잘 이용하고 있다.

유적지를 찾아가고 전문가 견해를 듣는 다큐 방식을 주로 하면서 3차원 컴퓨터 그래픽과 가상 스튜디오 등을 이용해 옛 모습을 재연하는 기법을 풍부하게 삽입한다.

첫회 고구려 무용총부터 지난주 발해 이야기까지 철저하게 이성적인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당시 분위기를 성공적으로 전달해왔다.

14일에 방영되는 '고구려군, 아차산 최후의 날' 역시 흥미로운 역사 산책이다.

두 달전 경기도 구리시 인근 아차산에서 발견된 투구 하나를 출발점으로 서울 구의동.풍납동으로 이어지는 거대한 고구려의 병영을 되살려 낸다.

때론 조각난 유물을 비추며, 때론 현란한 3D 그래픽을 끄집어 내며 먼 과거의 '내무반' 생활을 포착했다.

12명이 지냈던 '분대' 내무반, 병사의 이름이 새겨진 식기, 장엄한 의관을 두른 지휘관 등에선 오늘날의 군대를 보는 듯한 신기함마저 느껴진다.

앞으로도 분석적인 접근을 고집하되 재미를 잃지 않겠다는 게 남성우 책임 프로듀서의 얘기다.

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