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 의견 접근…10일 열릴 가능성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간의 9일 총재회담이 무산된 이후에도 국민회의와 한나라당은 10일중 회담을 개최한다는 원칙아래 9일 밤늦게까지 협상을 계속했다.

심야 협상에서 양당은 '9일 회담' 성사의 걸림돌이었던 경제청문회의 12월 7일 이전 개최 등에 의견을 접근시켰다.

국민회의와 한나라당 양당은 한화갑 (韓和甲).박희태 (朴熺太) 총무 및 정균환 (鄭均桓).신경식 (辛卿植) 총장간의 잇따른 접촉에서 한나라당이 이날 요구한 '표적사정과 인위적 정계개편 중지' 등 3개항 중 일부를 삭제한 뒤 회담결과 발표문에 명시하는 방안을 놓고 절충을 벌였다.

양당 총무는 10일 오전에도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양당 총재가 총무회담 결과를 수용하면 10일 청와대에서 오찬을 겸한 총재회담이 열린다.

여야 막후협상이 10일 오전까지 마무리되지 않을 경우 회담은 金대통령의 11일 방중 (訪中)에 이은 클린턴 미국대통령의 한국방문 등 이달말까지 계속될 金대통령의 외교일정 때문에 상당기간 미뤄지게 된다.

이에 앞서 여야는 이날 金대통령과 李총재의 오찬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한나라당이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에 대해 검찰수사가 공정하게 진행되는 지를 지켜보며 강압수사로 인한 왜곡이 있어선 안되고 ▶보복.표적사정과 인위적인 정계개편이 더이상 있어선 안되며 ▶불법감청과 고문에 대한 관련법을 조속히 개정한다는 내용을 합의문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 결렬됐다.

국민회의측은 회담중 李총재가 이 문제들을 거론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발표문에 명문화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당은 그러나 9일 밤 추가협상에서 이중 총격사건 및 감청.고문에 대한 부분을 삭제하고, 사정관련 부분은 金대통령이 '인위적 정계개편은 하지 않는다' 는 정도의 언급을 하는 선에서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졌다.

한편 金대통령은 박태준 (朴泰俊) 자민련 총재와 조찬회동을 갖고 경제위기 원인규명을 위한 경제청문회를 정기국회 회기내에 연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석현.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