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M 갈등’ 다른 업종으로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기업형 수퍼마켓(SSM)과 동네 수퍼 간 충돌로 촉발된 대기업과 중소상인 간의 갈등이 다른 업종으로도 확대될 전망이다.

22개 소상공인단체의 모임인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가칭)는 6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창립식을 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초대 공동회장에는 김경배 수퍼연합회장과 최극렬 상인연합회장이 선출됐다. 김 회장은 “당초 계획보다 참여 단체가 늘었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상인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의견을 모아 정부와 관련 업계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상공인연합회는 SSM출점 저지,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사업조정 제도 활용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연합회에 참여한 한국주유소협회는 대형할인점 주유소 6곳을 상대로 사업조정 신청을 검토하고 있고, 한국산업용재공구상협회도 경남 창원에 들어설 대형 공구 상가에 대한 사업조정 신청을 준비 중이다.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도 현재 560여 곳에 달하는 대기업 직영 정비업체 때문에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사업조정 신청을 검토 중이다.

이 와중에 SSM을 막아달라는 사업조정 신청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최근 SSM 사업조정권이 중소기업청에서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에는 6일 현재 지역 중소상인들이 낸 34건의 사업조정 신청이 접수돼 있다. 지자체로 권한이 이양된 뒤 이틀 만에 14건이 새로 들어왔다.

한편 중소기업청은 충북 청주수퍼연합이 4개 대형유통업체의 청주지역 SSM 개설 계획을 알려달라며 5일 중기청에 낸 ‘사전조사 신청’에 대해 신청 요건이 되는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