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소각장 서울·인천·경기 경계 2㎞내 4곳 밀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서울.인천.경기도부천시 경계지역의 반경 2㎞ 내에 도시 쓰레기 소각장 4곳이 동시에 가동되거나 건설이 추진되면서 대규모 환경재앙이 우려되고 있다.

환경부가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문수 (金文洙.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하루 2백t을 처리하는 부천중동 쓰레기 소각장이 가동 중이며 1개가 건설 중이고 2개의 건립이 계획돼 있다.

부천시는 오정구대장동에 시설용량 하루 3백t 규모인 소각장을 2000년 9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하고 있다.

또 서울시 강서구는 2005년까지 오곡동에 하루 1천5백t 규모의 소각장을, 인천시 계양구는 박촌동에 2002년까지 하루 6백t 규모의 소각장을 각각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이후에는 이들 4개 소각장에서 하루 2천6백t의 쓰레기를 소각하게 될 전망이어서 집중 배출되는 다이옥신.중금속 등 오염물질로 인한 환경재앙이 우려된다.

이와는 별도로 광명시는 내년말 완공을 목표로 가학동에 하루 3백t짜리 소각로를 건설 중이며 서울시 구로구도 부천시 경계와 인접한 천왕동에 소각장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 소각장이 한 지역에 집중된 것은 해당 지자체가 자기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도 경계지역에 설치하려 했기 때문이다.

金의원은 "이처럼 소각장이 밀집될 경우 소각장별 환경영향평가뿐만 아니라 지역내 소각장 전체를 대상으로 통합 환경영향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건설.운영비 절약과 오염예방을 위해 소각장 공동사용으로 소각장 숫자를 줄여야한다는 원칙에는 각 지자체가 합의 했으나 구체적인 방안에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