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역사교과서 좌편향 배제 … 6·25는 북한의 남침 명문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2011년부터 중·고교생들이 배우게 되는 새 역사교과서에서는 좌편향 논란을 일으켰던 내용이 사라진다. 특히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유일의 합법정부라는 점이 강조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런 내용의 새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집필 기준이란 교과서 저자들이 교과서 내용을 기술할 때 반드시 따라야 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민간 출판사는 이 기준에 맞춰 교과서를 만들고, 교과부의 검정을 받게 된다. 중학교 2학년과 고교 1학년은 2011년 3월, 중학교 3학년은 2012년 3월부터 새 역사(국사·세계사 통합) 교과서를 사용한다.

새 집필 기준은 대한민국 건국 과정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이념적으로 논란 가능성이 있는 서술 내용을 최대한 없앤 게 특징이다. ‘1948년 8월 15일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한 정통성 있는 국가임을 설명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대한민국은 농지개혁을 추진하고 친일파 청산에 노력했음을 서술한다’는 등의 내용도 있다.

6·25 전쟁과 관련해서는 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됐다는 사실을 명확히 하도록 했고, 이승만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기여한 긍정적인 면과 독재로 가게 된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객관적으로 서술하도록 했다. 금성출판사 등 일부 교과서는 ‘교과서 포럼’ 등 뉴라이트 계열 단체로부터 ‘분단의 책임을 남한에 전가하는 등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교과부 이성희 학교자율화추진관은 “특정 이념에 편향되지 않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서술하도록 한 것이 새 집필기준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진보계열의 전국역사교사모임 윤종배 회장은 “역사학계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 뉴라이트의 의견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비판했다.

정현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