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창출위해 수도권정비법 폐지 주장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수도권에 외국인 투자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규제 일변도의 현행 수도권정비계획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과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경기도산하 경기개발연구원 (원장 兪焄) 이 지난 24일 경기도여성회관에서 가진 '21세기 수도권정책의 대전환'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지난 82년 제정된 수도권정비계획법은 개발도 보존도 아닌 혼선을 초래했다" 고 지적했다.

서울대 최상철 (崔相哲) 교수는 "시장경제 원리와 지방화 시대에 걸맞도록 수도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수도권정비계획법을 폐지하고 지역실정에 맞는 상세한 지방계획을 다시 짜야한다" 고 주장했다.

崔교수는 "수도권 정책과 관련,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해온 영국.프랑스.일본의 경우 우리처럼 중앙정부가 주도해 규제위주의 정책을 펴온 게 아니라 지방정부가 계획 수립을 주도하되 중앙.지방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최종적인 방침을 결정하고 있다" 고 충고했다.

또 전경련 자유기업센터 김정호 (金正浩) 연구위원은 "수도권비대화에 대한 개념은 단순히 인구수로 따질 게 아니라 비용과 편익의 개념으로 판단돼야 한다" 며 "IMF체제하에서 고용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정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건국대 손재영 (孫在英) 교수도 "수도권 정책은 인구의 집중과 분산에 목표를 두기보다는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쪽으로 바뀌어야 한다" 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도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전면 폐지를 주장하며 이미 지난 7월 교수 등 외부전문가들 중심으로 규제대책위원회를 구성, '수도권발전법 (가칭)' 이라는 대체입법을 마련중이다.

이와 함께 청와대와 건설교통부 등 관계부처를 수차례 방문, 수도권정비법 폐지를 건의하고 두 차례에 걸쳐 정책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여론조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