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련산업 중요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2만여개의 부품으로 이뤄지는 자동차는 '기계산업의 꽃' 으로 한 나라의 산업수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된다.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산업연관효과가 그 어느 산업보다 크다.

생산단계에서 철강.기계.전자.전기 등 여러 제조업과 연계돼 있고, 유통단계에선 금융.광고.중고차매매업, 이용단계에선 운송.정비.유류판매업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이 한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제조업 생산액의 10.1%, 부가가치 생산의 8.7%, 수출의 8%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전산업 취업자 중 8.2%가 자동차 관련산업 종사자다.

이같은 고용 유발효과는 자동차산업이 성숙단계에 접어들수록 커진다.

미국.일본 등 선진국은 고용인구 중 자동차 관련종사자 비율이 11~13%대에 이르고 있다.

특소세.자동차세.등록세.주행세 등 자동차관련 세수 (지난해 14조9천억원) 는 조세총액의 18%를 차지했다.

김시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