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사정 내주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검찰은 다음주 임시국회가 끝나는 (2일) 대로 각종 사건과 관련돼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정치인들에 대한 본격적인 소환조사를 시작한다.

소환대상 정치인은 기아.청구.경성사건 등에서 거명됐던 40명선이며 여당의원도 상당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소환대상 정치인들 중에는 사실확인 차원도 있지만 비리물증이 확보된 정치인도 있어 몇몇 정치인은 곧바로 사법처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등 야당의 격렬한 반발과 그에 따른 정국경색이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여권의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기아.청구.경성사건 등에서 거명됐던 의원들에 대한 검찰의 꾸준한 내사가 있었다" 며 "정치개혁 차원에서 이들의 의혹부분에 대한 검찰의 공개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알고 있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검찰 소환대상은 일단 비리혐의가 구체적인 경우로 한정되겠으나 조사결과 혐의에 따른 법적용을 받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중권 (金重權) 대통령 비서실장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이신행 (李信行)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낸 것을 보면 신호탄을 던진 게 아니냐는 느낌이 든다" 며 "9월께 되면 검찰의 사정활동 결과가 서서히 드러날 것 같다" 고 말했다. 金실장은 "검찰 일각에선 일단 혐의가 있는 정치인들은 모두 소환조사한 뒤 사법처리 여부를 가리자는 의견도 있다" 고 전했다.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사정당국의 각종 비리혐의 내사 결과, 빠른 시일내에 여야를 막론하고 관련 정치인 및 공직자들에 대한 형평성 있는 법적용이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 고 말했다.

朴대변인은 "증거가 속속 확보됨에 따라 관계기관이 증거가 확실한 경우에 대해서는 곧 사법처리에 착수할 것으로 안다" 고 덧붙였다.

그간 제기된 정치인 비리관련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청구 = 대구지검은 청구그룹 장수홍 (張壽弘) 회장이 2백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 이중 50억~60억원을 정치권에 뿌린 혐의를 포착. 계좌추적 결과 10여명의 구여권 정치인에게 수백만~수천만원의 돈이 건네진 흔적을 밝혀낸 상태다.

홍인길 (洪仁吉) 전 의원은 張회장에게 받은 10억원중 대부분을 구여 정치인과 현 여권인사에게 정치자금으로 제공했으나 검찰에서 진술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 기아 = 국민회의 김영환 (金榮煥) 의원은 기아의 비자금이 9백억원 정도 조성됐으며 상당액이 정치권으로 흘러갔다고 주장. 검찰은 이신행의원이 조성한 비자금 1백85억원중 횡령혐의가 있는 31억원의 행방을 쫓고 있다.

◇ 경성 = 경성그룹이 한국부동산신탁으로부터 거액을 대출받는 과정에서 국민회의 전.현직의원 5명, 자민련 의원 5명에게 로비 청탁을 했다는 진술이 수사과정에서 나왔다.

검찰은 26일자 검찰인사후 수사팀을 전원교체, 물증을 찾는 중이다.

◇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 = 한나라당 S.K의원, 국민회의 C의원에게 부탁했다는 진술을 김현수 전 한컴산회장으로부터 받아낸 상태.

이연홍.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