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2기 '열린 행정'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주민의사와 겉도는 일방적인 행정, 타성에 젖은 무사안일한 일처리, 딱딱한 표정과 말투…. 관청하면 흔히 연상되는 이같은 병폐들이 2기 민선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점차 사라지고 있다.

재선을 염두에 둔 단체장들과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공무원들이 너나없이 '열린 행정' 을 내세우며 주민들에게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 이뤄진 가장 큰 변화는 각 지자체가 주민.전문가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늘고 있다는 점. 성북구는 6월부터 6개 분야 26명의 교수로 '구정자문교수단' 을 구성, 분야별 추진사업에 대한 연구.검토를 의뢰하고 있으며 강서구는 이달 말부터 주민대표 1백50명으로 이뤄진 '구정자율평가단' 에 구정 평가및 감시를 맡길 계획이다.

송파구는 청소년들의 순수한 눈을 통해 문제를 파악한다는 취지에서 중.고생 등 94명을 평가단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광진구는 아예 연구소.복지관 출신 전문가 3명을 별정직으로 채용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보여주기 위한 전시행사에 그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구정평가단의 경우 구에 따라 1년에 한번씩 모임이 이뤄지는 등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개선요구 사항이 다음 1년동안 확인되지 못하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배익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