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감원,5대그룹 재무개선계획 내달까지 다시 제출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현대.삼성.대우.LG.SK 등 5대 그룹은 9월말까지 주채권 은행에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다시 제출하고 채권단협의 및 외부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오는 12월 15일까지 최종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확정해야 한다.

그후엔 이 계획에 따라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하며 도중에 일정을 늦추거나 계획을 바꾸면 채권은행들로부터 여신중단.회수 등 공동의 제재를 받게 된다.

이를 위해 은행들은 이달 말까지 각 그룹에 대해 회계법인의 자산 실사를 실시해 계열사별 실질자산가치를 따질 예정인데 이 과정에서 그룹 내부의 지원 없이 정상화가 불가능해 퇴출될 업체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은행감독원은 7일 은행 여신담당 상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업개선작업 (워크아웃) 의 세부지침을 통보했다.

이에 따르면 주채권 은행은 이달 말까지 계열사별로 회계법인을 통한 자산 실사를 벌이는데 이어 9월 15일부터는 외국투자은행으로 구성된 자문단을 그룹별로 지정해 재무구조 개선계획 작성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 이달 중 주요 채권은행으로 구성된 채권단협의회가 설치돼 모든 기업정보를 공유하면서 기업들이 제출한 계획을 심의, 오는 11월 15일까지 채권단의 협의안을 만들고 이를 다시 각 그룹과 한달간 협의해 12월 15일 최종안을 확정짓게 된다.

은감원은 당초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주채권 은행과만 하라고 지도해왔으나 대기업의 경우 여러 은행에서 동시에 거액여신을 쓰고 있다는 점을 감안, 주요 채권은행을 모두 재무구조 개선계획 작성과정에 참여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은감원은 또 기업이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어기거나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공동으로 제재를 가하도록 지도하기로 했다.

이밖에 은감원은 중소기업의 워크아웃과 관련, 우선지원기업 7천8백46개에 대해서는 원화 7조5천6백80억원, 외화 4억2천만달러의 추가 지원계획을 마련해 업체당 평균 10억원씩 지원되도록 하기로 했다.

한편 은감원은 64대 그룹 밑의 중견기업에 대해서는 8대 시중은행이 10개씩 워크아웃 대상을 선정하도록 한 기존조치와 별도로 나머지 은행들도 8월말까지 은행당 3~5개의 업체를 선정하도록 했다.

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