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超국지성' 게릴라 호우…남북지역의 3배뿌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4일 오전 서울 하늘이 뚫린듯 쏟아진 폭우는 지역에 따라 3배가 넘는 강수량 격차를 보였다.

강력한 비구름대가 좁은 지역을 몰려다니며 비를 쏟아붓고 달아나는 '히트 앤드 런' 식 게릴라성 현상이다.

서울시내에서 비가 가장 많이 온 동대문구는 기상청이 위치한 종로구 송월동 지역에서 관측된 서울지역 3~4일의 공식 강수량인 2백57.7㎜보다 1백㎜이상이나 많은 3백84㎜. 4일 0~오전 1시 사이 송파구에 29.5㎜의 비를 내린 비구름대는 1시간 뒤 노원으로 북상해 시간당 20㎜를 쏟아부었으며 잠시 잠잠해지다 오전 7시부터 동대문구로 빠져나가 시간당 77.5㎜의 장대비를 내렸다.

종로.중구.동대문.중랑구 등이 물난리가 난 시간 금천구 등 남부와 강북 등 북부지역은 고작 시간당 5㎜의 강수량을 보이는등 초 (超) 국지성 호우가 출몰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4일까지 금천구 (1백2. 5㎜) 와 도봉구 (1백7. 5㎜) 강수량은 최고지역의 3분의1 수준으로 '동서 (東西) - 다 (多)' '남북 (南北) - 소 (少)' 로 차이가 났으며 피해도 지역마다 엇갈렸다.

이처럼 게릴라성 호우는 중국에서 유입된 고온다습한 기류가 서울지역을 서에서 동으로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상층부의 찬공기와 접해 비를 쏟은 뒤 계속되는 온난기류의 유입으로 반복된 현상.

특히 배기가스 등에 의해 생겨난 먼지입자를 중심으로 수증기가 응결핵을 구성한 뒤 이것이 구름입자로 발전, 폭우로 이어질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하면서 동대문구 등 도심지역의 비가 많았다는 게 기상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