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공단 투자희망 외국기업에 미분양용지제공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제발로 들어온 외국기업들을 놓칠 순 없는 만큼 정부가 나서야 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한 공장용지까지 정부가 떠안을 수는 없다. "

천안 외국인전용공단에 투자를 희망한 첨단기술 부문의 17개 외국기업 (합작업체 포함)에게 미분양용지를 제공해주는 문제를 놓고 지자체와 중앙부처간에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천안시와 충남도가 이들 업체의 요구에 따라 미분양용지를 임대전환하고 이 용지구입비를 정부예산에서 지원해줄 것을 요청한데 대해 예산청이 "다른 공단과 형평에 어긋난다" 며 난색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충남도에 따르면 케이트로닉스 (비철금속) 등 17개 외국기업은 최근 우리 나라에 투자키로 하고 천안시백석.성성동 일대 15만5천평의 천안공단 가운데 미분양 상태인 4만평을 임대방식으로 공급해 줄 것을 산업자원부에 요청했다.

이들 업체는 분양 (분양가 평당 26만원) 보다 임대 (임대료 평당 월4백원.산자부 고시가)가 투자비용이 적게 들어 이를 희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남도와 산자부는 외국인 투자유치 차원에서 미분양지를 국가가 사들이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고 예산청과 청와대등을 방문, 임대 용지 매입비 (2백5억원) 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도는 이들 기업이 입주를 완료할 경우 6백33명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되고 연간 65억원의 임금소득 증대와 인력유입에 따른 주민세.담배소비세등 15억원의 지방세수 증대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반면 예산청은 "충남도의 요구를 들어주면 다른 자치단체들도 똑같은 요구를 해와 감당할 수 없다" 며 "다만 분양가를 낮춰 외국기업을 유치할 경우 부족분을 보전해주는 방안은 검토할 수 있다" 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천안외국인전용공단은 천안시가 7백62억원을 들여 지난 94년 12월 조성을 시작, 지난해 7월 완공했으며 현재 24개 외국기업이 입주해 있다.

천안 = 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