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률 '뻥튀기' 신고 기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아파트 공급 업체들이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신청자수를 부풀려 지자체에 신고하는 이른바 '뻥튀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일부 건설업체들은 아파트 초기 분양 계약률을 실제보다 최고 20배이상 부풀려 신고, 가수요를 부채질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5월 이후 분양된 300가구 이상 규모 단지 9곳을 조사한 결과 8곳에서 실제보다 높여 신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주시 효자동에 건설 중인 S아파트의 경우 전체 419가구 중 실제 계약률은 54%인 227가구에 불과한 데도 98%인 410가구가 계약됐다고 전주시에 신고했다. 평화동의 다른 S아파트(888가구)도 실제 계약률이 154가구(17%)이나 420가구(47%)가 계약한 것처럼 신고했다.

특히 440가구를 분양한 익산 R아파트는 계약률이 4%에 그쳤지만 그보다 22배나 많은 90%가 계약된 것처럼 허위 신고했다.

또 군산 도현동 H아파트의 경우 전체 472가구 중 30가구가 계약(계약률 6%) 했는 데도 58%(275가구)가 계약됐다고 신고했다.

업체들은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미분양이 많아 부도 등의 위기에 처할 것을 우려, 분양률을 부풀린 뒤 이른바 '떴다방' 등을 유인해 가수요를 부채질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일부 업체가 전매차익을 노린 떴다방 등을 동원해 분양률을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들의 전략에 말려들면 결국 서민들이 피해를 보지만 현재로는 관련 처벌 규정이 없어 답답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전주=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