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북부 두 권역 시 통합 동상이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생활권이 비슷한 경기도 남·북부 2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통합이 가시화하고 있다. 남부권의 안양·군포·의왕시와 북부권의 의정부·양주·동두천시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최근 “가능한 지역부터 자율통합을 추진해 연내에 결실을 보도록 하겠다”고 밝히면서 통합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경기도 남부권=이필운 안양시장은 “통합 문제를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안양시는 도시기반시설이 포화 상태여서 인근 지자체와 통합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3개 시가 통합하면 구청이나 주민자치센터 통폐합으로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군포·의왕시는 부정적이다. 노재영 군포시장과 이형구 의왕시장은 “서로 여건과 정서가 달라 일방적인 통합을 추진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경환 군포시의회의장도 “통합시의 이름과 시청 위치 등 모든 것을 안양시가 좌지우지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3개 시 주민들은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군포·의왕시 주민들은 종합운동장과 체육관·수영장·빙상장 등 대부분의 체육시설이 안양시에 집중돼 있어 이용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다.

◆경기도 북부권=주요 행정관청이 밀집한 의정부시는 대체로 찬성하는 분위기지만 양주·동두천시는 완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김문원 의정부시장은 “통합의 필요성과 여론이 형성된다면 기본적으로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인구는 적은데 땅이 넓고, 인구는 많은데 땅이 좁은 지자체가 통합하면 단점을 보완하며 지역 발전의 새로운 발전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의정부시 공무원들은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을지, 먼 곳으로 전출 가는 일은 없을지 등을 고민하며 달갑지만은 않다는 입장이다.

임충빈 양주시장은 “시민들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고 공감대가 형성되고 난 후 통합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 시장은 “인구가 의정부시를 추월하고 도시기반시설도 우월해지게 되는 4∼5년 후 대등한 입장에서 의정부시와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오세창 동두천시장은 “중앙정부 뜻에 따른 행정개편 추진은 반대하며 시민들의 의견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지금 통합이 이뤄질 경우 미군 주둔으로 50여 년 동안 소외돼 온 동두천이 이번엔 통합시의 변두리로 또다시 밀려나게 된다”고 우려했다.

전익진·정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