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대상 계열기업 선정' 이달말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당초 15일로 예정돼있던 구조조정 대상 계열기업 선정이 금융감독위원회의 방침선회로 이달말까지로 연기됐다.

또 구조조정 대상업체에 대한 발표도 일괄적으로 하지 않고 주채권은행이 필요에 따라 건별로 채권자협의회를 소집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이헌재 (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은 지난 6월 18일 퇴출기업을 발표하면서 7월 15일까지 조흥.상업.한일.외환.제일.서울.신한.산업 등 8개 은행이 2곳씩 모두 16개 그룹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합.신호가 부도직전에 몰려 어쩔 수 없이 신청한 데 이어 갑을.진도가 가세해 지금까지 모두 4곳만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되는 데 그쳤다.

구조조정 대상 선정이 부진한 가장 큰 원인은 금감위가 제시한 '워크아웃' 방식에 대해 은행과 기업이 확신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금감위는 워크아웃이 기업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했지만 기업은 오히려 퇴출당하는 지름길로 의심하고 있다.

또 은행도 기업의 반대를 무릅쓰고 억지로 워크아웃 대상에 넣었다 나중에 결과가 안좋을 경우 책임이 돌아올 것을 걱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예고된 일정을 막판에서야 급하게 바꾸는 바람에 누가 워크아웃 대상이 되느냐가 계속 불확실해져 채권금융기관이나 소액투자자들은 더 혼란을 겪게 됐다.

물론 금감위에 따르면 워크아웃의 근본취지는 그룹 계열사중 살 곳은 살리고 죽을 곳은 빨리 퇴출시켜 소수정예로 그룹을 재편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채권은행들은 협조융자를 해주거나 반대로 부실계열사를 즉시 청산할 수도 있다.

이미 고합에는 워크아웃에 들어가기도 전에 2천4백억원의 협조융자를 해줬다.

또 대출금을 출자로 전환해 직접 경영에 나서거나 일부를 탕감해 해외에 매각할 수도 있다.

이런 절차가 신속히 이뤄지지 않고 채권은행간에 이견이 생기면 금감위가 직접 뽑은 기업구조조정위원회가 직권조정에 나서게 된다.

시장반응은 '워크아웃 = 퇴출' 이라는 고정관념이 상당히 희석되고 있는 쪽으로 나타나고 있다. 15일 증시에서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된 고합.신호.갑을.진도의 16개 계열사 주가는 일제히 가파른 오름세를 탔다.

신호 계열 환영철강공업만 하한가를 기록했을 뿐 13개사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대유리젠트증권 김경신 이사는 "고합에 대한 협조융자 결정이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금융당국의 회생의지를 천명한 셈이 돼 주가폭등을 불렀다" 고 말했다.

남윤호.이정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