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대축전]4당.8개민간단체 '범국민협'결성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8.15 판문점 통일대축전 준비를 위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각 정당은 물론 보수와 재야세력이 머리를 맞대고 진지한 논의를 벌이고 있어 민간차원 통일운동이 새 전기를 맞을 분위기다.

국민회의 설훈 (薛勳) 기조위원장을 비롯한 4당관계자와 경실련 등 8개 민간단체는 6일 낮 간담회를 갖고 8.15 축전행사 준비와 앞으로의 민간통일운동의 구심체가 될 '민족화해협력 범국민협의회' (가칭) 를 결성키로 의견을 모았다.

강인덕 (康仁德) 통일장관이 정부대표로 참석한 모임에서는 축전준비의 기득권을 주장하는 재야단체인 민족회의측과 다른 민간단체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민족회의는 지난 4일 1백33개 민간단체를 포함하는 '추진본부' 를 발족, 한걸음 앞선 상태.

북한이 범민련.한총련 등 우리 정부가 기피하는 상대와의 행사를 고집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을 설득하고 대화에 나서게 할 수 있는 것은 자신들 뿐이라는 게 민족회의를 포함한 추진본부의 주장이다.

그러나 정당과 보수세력의 견제도 만만치 않다.

어느 특정 세력보다는 각계각층을 아우르는 '대표성' 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와 민간추진본부의 역할을 놓고 '몸통이냐 깃털이냐' 하는 논쟁도 벌였다. 정부의 입장은 다소 곤혹스런 상태다.

회의에 참석했던 박성훈 (朴聖勳) 통일부 정책실장은 " (참여단체의 성격이) 워낙 알록달록해서…" 라고 말끝을 흐렸다.

결국 참석자들은 오는 10일 '기존 추진본부의 성과를 계승할 포괄적 기구를 만들자' 는 데 합의한 채 접촉을 끝냈다.

판문점 행사를 정치선전장화 하려는 북한의 의도를 봉쇄하고 재야와 보수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는 후원자 역할을 자임한 정부의 몫이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