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부처이견에 망깔기 공백 등으로 연쇄도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케이블TV 업계가 한꺼번에 도산할 조짐이다.

자체 경쟁력이 없고 유료 가입자가 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면 할말이 없다.

위기의 근원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지난 1일 여성채널 동아TV가 부도를 냈다.

교육채널 다솜방송.기독교 TV.여성채널 GTV에 이어 4번째였다.

동아TV의 경우 전파발사를 종료하는 첫 케이스가 될지 모른다는 시각이 있을 정도다. 보도채널 YTN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1천억원 부채를 감안하노라면 스스로 회생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YTN노조가 1일 급기야 쟁의조정 신청을 낸 것은 혹시 정부의 특별조치를 요구하는 신호 같은 것 아닐까. 출범 3년, 유료 시청자 80만에 누적적자 8천억원 수준. 전송망 인프라확대 (현재 전국 가구의 35% 정도인 5백만 가구 정도 시청 가능)가 필수적이지만 한국전력 등은 적자사업이라는 이유로 팔짱을 낀채 그대로다.

문화관광부의 입장은 각종 망 (網)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한전이 케이블 설치까지 맡아야 한다는 것. 하지만 한전 구조조정안을 만들고 있는 기획예산위의 정책방향과는 달라 드라이브를 걸지 못하고 있다.

기획예산위측 관계자의 입장. "이미 한전이 케이블 전송망 사업에서만 4천억원의 적자를 냈다.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나 전송망 사업을 매각해야 할 것으로 본다.

" 현실적인 대안은 케이블TV와 중계유선업의 통합.운영이다.

중계유선의 경우 현재 8백50만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을 뿐더러 당장 케이블TV를 내보낼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양측이 통합의 주도권 또는 우위점유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는 점. 여기다가 통합을 명문화하는 방송법 개정작업도 선행돼야 한다.

하지만 의견조율은 여전히 난항이고 각종 정치일정에 떼밀렸던 방송법 개정은 연말에야 이뤄질 전망. 그동안 몇개의 업체가 더 무너질지 모를 일이다.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