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영매체 '밀실인사' 다시 도마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지난달 30일 주총에서 이뤄진 연합통신 새 임원진 선임을 놓고 밀실 인사에 대한 비판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연합통신 노조는 새로 사장에 선임된 김종철 (54.전 한겨레진문논설위원) 씨에 대해 "개혁적 인물이 온 것을 환영한다" 면서도 "임원 선임이 전혀 공개 없이 정권의 밀실 인사로 이뤄진 것은 문제" 라고 지적했다.

일부 노조원들은 주주총회 당일 회의장 앞에서 밀실 인사 철폐시위를 벌였고 "이름을 대기는 거북하나 정권에 줄을 댄 인물도 임원이 됐다" 는 불만도 사후에 나왔다.

새 정부는 그간 관영언론매체에 일방적 절차로 친정부적 인물을 요직에 앉혀 '언론장악' 의도가 아니냐는 비난을 자초했다.

4월 서울신문 인사에서는 대통령의 장남 김홍일 의원의 처남인 윤흥렬씨가 전무로 전격 기용돼 반발이 일기도 했다.

이에 따라 연합통신 새 임원은 후보를 사전에 공개하고 여론의 평가를 반영해 정부의 장악 의도가 없음을 보여야 한다는 기대가 높았다.

특히 5월 연합통신 임원진 전원이 갑자기 사표를 내고, 이것이 정부요구였다는 설이 나돌아 공개 인사 요구는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임원 선정은 극히 은밀히 이뤄졌고 이에 우려의 시각이 많다.

김사장이 90년대 한겨레신문 논설위원 시절 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였던 만큼 앞으로 연합통신이 친 (親) 정부적 색채를 띄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사장은 "당시 대통령 후보들중 가장 뛰어난 인물이었기에 지지한 것 뿐" 이라며 "정권 비판은 언론의 사명" 이라고 우려를 일축했다.

이효성 성균관대교수는 "공개 인사는 아니었지만 개혁을 주도할 인물이 사장에 임명됐다" 면서도 "앞으로 언론계 주요직은 공개 인사가 되도록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고 말했다.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