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대운하’ 논쟁 끝 … 이젠 ‘4대 강’에 힘 모으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8면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임기 내에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촛불정국 때 “국민이 반대하면 하지 않겠다”던 ‘조건부 포기’에서 이번에는 ‘완전 포기’를 분명히 한 것이다. 대통령은 “정부에 대한 불신의 벽이 너무 높구나 하는 안타까움 때문에 이 기회에 분명하게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우리 사회의 소통 부재가 위험 수위에 다다랐음을 느끼면서 대운하를 공개적으로 중단시킨 것이다. 늦게나마 대통령이 올바른 결단을 내렸다고 본다.

이제 남은 숙제는 4대 강 살리기다. 결코 만만한 사업이 아니다. 본 사업비만 해도 22조원이 들어가는 단군 이래 최대의 국책사업이다. 우리는 홍수 예방과 머지않아 직면할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4대 강 유역 정비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4대 강 살리기도 적지 않은 논란에 휩싸여 있다. 수질 오염은 주로 지천에서 비롯되는데 본류만 정비한다고 수질이 개선되느냐, 일시에 퇴적토를 긁어내면 생태계 교란과 강물 오염으로 이어지지 않겠는가, 한꺼번에 4대 강에 손대기보다 순차적으로 정비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으냐는 등의 의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정부는 이미 사업비 14조원을 6개월 만에 22조원으로 늘리면서 불신을 자초한 바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열린 마음으로 차분하게 4대 강 살리기를 추진해야 한다. 대운하 논란을 거치면서 정부 이미지는 잘못 각인된 게 사실이다. 한 번 박혀 버린 이미지를 바꾸기란 쉽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치밀하게 국민을 설득하고 면밀하게 준비해 4대 강 살리기를 성공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사회의 의혹과 불신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정치세력과 환경단체들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접어야 한다. 정권이 바뀌자 하루아침에 대운하 찬성으로 손바닥을 뒤집은 국토해양부도 낯 뜨겁지만 걸핏하면 ‘강물이 썩어간다’던 환경단체들이 갑자기 “우리의 강은 건강하다”며 4대 강 살리기에 핏대를 세우는 것 역시 보기 민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