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완화 약발 … 하반기 재건축 시장 ‘희소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재건축 용적률 완화로 재건축 사업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재건축추진위 구성 단계에서 사업이 중단된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중앙포토]

하락세에서 벗어나 상반기 상승세를 탄 재건축 시장의 하반기 전망도 밝은 편이다. 상반기 분위기가 그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매매가가 급등하면서 매수·매도자 간 희망가격 차이로 최근에는 소강 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금리가 낮고 호재는 많아서다.

상반기 서울 강남권(서초·강남·송파구)을 중심으로 재건축아파트 값이 급등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정보협회에 따르면 특히 송파구(19.33%)가 많이 올랐다.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116㎡는 연초보다 3억~3억5000만원 정도 13억1000만~13억3000만원을 호가(부르는 값)한다. 119㎡ 역시 3억원 이상 올라 14억2000만~14억5000만원에 매물이 나온다.

강남구(9.58%)와 서초구(7.52%)도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구 개포동 시영 62㎡와 강동구 둔촌동 주공2단지 82㎡는 연초보다 2억5000만원 정도 올라 각각 11억3000만원, 9억4000만원을 호가한다. 오른 가격에 거래도 이뤄졌다. “4~5월 매수세가 적극 달려들면서 급매물이 팔리고 가격이 급등했다”고 중개업소들이 전했다.

재건축아파트 값 상승은 무엇보다 정부의 규제 완화 효과가 크다. 규제 완화는 지난해부터 나왔지만 입법 과정을 거쳐 법제화되는 등 가시화한 건 올 들어서다. 4월 1일 임대주택 의무건설 폐지와 용적률을 국토계획법상 상한 용적률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고, 한강변 아파트를 초고층으로 재건축하는 사업도 용역 발주 등으로 본격 시작됐다.

여기에 제2롯데월드 건립 등의 호재가 보태졌다. 2006년 최고가 대비 아파트 값이 30% 안팎 빠진 것도 투자자들의 구미를 당겼다. 각종 규제 완화로 재건축 사업성은 이전보다 훨씬 좋아진 데 비해 가격은 싸 투자 수요가 몰렸던 것이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전문가들은 “중단됐던 재건축 사업이 규제 완화에 힘입어 다시 시작된다면 이 같은 분위기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시장에서는 강남 3구의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 해제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하다. 여당이 반대하고 있지만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도 시간문제라는 반응이다. 투기지역이 해제되고 상한제가 폐지되면 또다시 재건축아파트 값이 들썩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그러나 정부가 최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대출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어 시장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 부동산 규제 측면보다는 과도한 대출을 막아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겠다는 취지인데 아무래도 부동산시장에는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공인 채은희 사장은 “강남권은 투기지역이어서 금융 규제가 아직 남아 있어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대출 규제가 현실화하면)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위축되면서 재건축 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