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대청호 쓰레기처리로 골치 썩일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한국수자원공사와 충주.대청호 주변 지자체들이 호수 쓰레기 처리비용을 서로 떠넘기고 있어 올 장마철에도 쓰레기가 제 때 처리되지 않아 골치를 썩일 것으로 보인다.

17일 충북도와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충주호와 대청호에 매년 장마철만 되면 나뭇가지.스티로폼.PET병 등 각종 부유쓰레기가 각각 3천t, 1천5백t 가량에 이르러 수거처리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호수내 부유쓰레기는 그동안 수자원공사가 수거한 뒤 자치단체가 이를 운반해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해왔다.

그러나 각 자치단체는 가뜩이나 매립장이 협소한 마당에 수자원공사의 운반 및 매립비용 분담금 (t당 8천~1만5천원) 으로는 더 이상 처리할 수 없다며 t당 4만~5만원에 이르는 처리비용을 수자원공사가 모두 부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이들 해당 자치단체는 "수자원공사가 부담할 처리비용이라야 자체소각.재활용쓰레기를 제외하고 나면 1천만원 안쪽" 이라며 "더욱이 지난해 12월 총리실에서 부유쓰레기의 운반 및 처리비용을 수자원공사가 부담토록 지침을 내려보냈는데도 이를 무시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수자원공사는 쓰레기가 해당 지자체에서 발생한 것이 대부분인만큼 원인자부담원칙을 들어 처리비용의 전액 부담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충주호의 경우 지난 16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와 수자원공사 관계자, 충주.제천.단양 등 자치단체 관계자들이 협약체결을 위해 회의를 열었으나 결렬되고 말았다.

또 대청호 쓰레기 처리문제도 수자원공사 대청댐사무소와 보은.옥천.영동군 등 사이에 협약체결 등 대책이 시급하나 지금까지 협의조차 않고 있다.

이때문에 올해도 지난해처럼 수자원공사가 수거해놓은 쓰레기가 자칫 몇달씩 처리되지 않고 방치될 처지에 놓였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부유쓰레기는 수질오염과 미관훼손을 가져와 적기 처리가 중요하다" 며 "조만간 수자원공사 고위책임자와의 만남을 주선, 처리비용 문제를 매듭짓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청주 = 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