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한국전력 양산단층 활성여부 판정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과학기술부와 한국전력이 이달 중순 양산단층 활성 (活性) 여부에 대한 최종발표를 앞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고민의 초점은 이미 중간조사에서 양산단층의 '새끼' 단층으로 발견된 '말방리단층' 등 일부 활성지층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문제. 말방리 단층은 지난해 가을 조사에서 28만7천년전과 26만2천년등 2차례에 걸친 지각변동이 확인된 바 있다. 과기부등은 말방리 단층 발견이전까지만 해도 '양산단층대에는 활성의 증거가 없다' 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이 단층 발견으로 활성의 증거가 일부 드러난 셈이어서 인근 월성원전의 안전성 문제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 그 때문에 성급한 일부 지질학자들은 조사결과의 축소등 '변질' 을 우려하기도 한다.

과기부는 "사안이 중대한 만큼 결론도출에 신중을 기할 뿐 축소는 없을 것" 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과기부는 당초 일정대로 1~3일 국내외 전문가를 초빙, 단층현장 답사와 함께 토론회를 거쳐 최종판정을 내릴 계획이다.

그러나 한전은 이미 내부적으로 말방리 단층의 활성에 대한 '지나친' 해석은 수용할 수 없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한전 지질팀의 관계자는 "말방리 단층은 길이가 2백m남짓에 불과하다" 며 "이를 근거로 1백㎞가 훨씬 넘는 양산단층 전체를 활성이라고 할 수 는 없다" 고 못박았다. 이같은 한전측의 주장에 대해 지질전문가들은 "양산단층대란 지류격인 새끼단층을 다 포괄하는 것" 이라며 말방단층의 활성은 양산단층 전체의 활성으로 보아야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처럼 해석이 구구한 것은 양산단층 전체가 활성으로 판정될 경우 원전 안전장치의 설계강화등에 엄청난 돈이 들기 때문. 전문가들은 이 경우 원전 1기당 안전비용이 수조원 이상 더 들 것으로 내다본다.

한편 일부 원자력.지질 전문가들은 활성단층과 원전안전 기준이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미국기준을 원용한 것이라며 우리 지층에 맞는 활성기준 채택을 권고하고 있다. 가령 활성기준을 엄격한 미국식으로 하더라도 단층에서 2㎞정도 (현재 10㎞밖) 만 벗어나면 원전을 짓도록 하자는 것이다.

김창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