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인도네시아는 어디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인도네시아의 육지면적은 2백여만 평방㎞, 한반도의 약9배나 되는 큰 나라다. 그러나 이 나라의 진짜 크기는 바다에 있다.

수마트라에서 뉴기니까지 적도를 따라 펼쳐진 인도네시아의 영역은 미국 본토와 맞먹는다. 동쪽 끝에서 해가 뜬 세시간 후에야 서쪽 끝에 해가 뜬다.

1만여개섬 중 사람이 사는 곳만도 1천을 헤아린다.넓은 영역에 수많은 섬들이 널려 있으니 당연히 인종과 언어, 문화와 종교가 큰 다양성을 보인다.

자바섬 동쪽으로 티모르섬까지 고구마줄기처럼 나란히 늘어선 섬들에서 이 다양성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자바섬 바로 옆의 발리섬은 철저한 힌두교 지역, 그 옆의 롬보크섬은 힌두교와 이슬람이 섞인 곳, 다음의 숨바와섬은 철저한 이슬람이다. 그 다음의 플로레스섬은 가톨릭이 지배적이고 끄트머리의 티모르섬은 개신교 우세지역이다.

이렇게 자연적.문화적으로 통일성이 약한 섬들이 어떻게 하나의 나라를 이룰 수 있었을까. 사실16~17세기에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세력이 진출할 때까지 이 해역에는 대규모 정치조직이 없었다.

동인도회사 활동으로 시작한 네덜란드 식민지배가 인도네시아 국가의 틀이 됐다. 이틀을 지키며 새 국가를 만든 것이 수카르노 (1901~1970) 의 공로였다.

1920년대 후반부터 민족주의 지도자로 나선 수카르노는 어학의 천재였다. 자바어.순다어.발리어 등 토착어와 아랍어.네덜란드어.영어.독어.불어 등 인도네시아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언어를 학생시절부터 익혔다. 후에는 일본인 부인까지 두고 일본어를 배웠다.

독립 후 공용어가 된 인도네시아어를 만드는 데도 그의 공헌이 컸다. 뛰어난 창의력과 카리스마를 가진 수카르노는 거대한 해양국가를 만드는 창업 (創業)에 성공했지만 안정된 발전의 길을 여는 수성 (守成)에 실패했다.

그의 독선적 정책노선은 60년대초의 경제파탄을 몰고 와 정권전복으로 이어졌다. 1967년 정권을 탈취한 수하르토가 30년 독재끝에 쫓겨난 뒤 인도네시아의 국체 (國體)가 어떻게 지켜질 지 궁금한 일이다.

유럽을 대항해시대로 끌어들인 향료의 땅 동인도제도가 바로 인도네시아였다. 엄청난 자원과 인구, 그리고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를 가로지르는 그 지리적 위치는 잠재적으로 큰 전략적 중요성을 지금도 갖고 있다.

식민지배와 독재체제에 묶여 있던 이 전략적 중요성이 앞으로의 세계에서 어떤 모습으로 펼쳐질지, 21세기의 큰 변수중 하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