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미국 정부에 납품 어렵지 않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미국에 진출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하고 싶다."

재미 동포인 김남구(47) US사이언스앤테크놀러지 사장은 미국에 진출할 중소기업을 물색하기 위해 최근 내한했다. 이 회사(www.usstg.com)는 한.미 중소기업 거래를 중개하기 위해 올해 초 설립됐다.

김 사장은 미국 메릴랜드주 프린스조지카운티의 주류 허가 판정관, 경제개발국 국제사업협력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지난해에는 이 카운티의 대표로 내한해 제주도와 자매결연을 하기도 했다. 특히 그는 미국은 소수민족이 운영하는 업체에 공공기관 납품 우선권을 주는 '소수민족 우대법'이 있어 중소기업 진출이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프린스조지카운티에는 연방정부에 소수민족 우대법에 따라 물품을 납품하는 업체가 500여개나 몰려 있다"며 "한국 업체들이 이들을 통해 주문자상표부착(OEM) 등으로 손쉽게 납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한국 업체들은 까다롭고 번거로운 미국 품질인증서나 보증 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미국 업체들이 해결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중소기업들이 미국에 진출하려 해도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이런 절차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 실제 미국 업체에 한국의 중소기업이 거래하려면 보증금을 내거나 변호사 비용 등으로 수천만~수억원이 들기도 한다.

그는 "한국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 이미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세계무역센터에 100평 가까운 전시장을 마련했다"며 "인터넷 전화기와 수질오염 측정기 등을 만드는 몇몇 한국 업체가 샘플을 전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상품 전시는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김 사장은 초기엔 300달러 정도의 비용을 제외하고 중개 수수료를 받지 않을 방침이다.

박방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