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 ‘파업 풀면 해고 유보’ 협상안 거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법정관리 중인 쌍용자동차 노조가 ‘파업을 풀면 정리해고를 유보하겠다’는 회사 측의 협상안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쌍용차 평택사업장에 공권력이 투입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쌍용차 노조는 8일 평택사업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 측의 최근 협상안을 거부하고 계속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창근 노조 기획부장은 “회사 측 안은 먼저 파업을 풀고 조업을 재개하면 정리해고를 유예한다는 것이었다”며 “법적인 효력이나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노조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정리해고 철회와 고용 보장이라는 기존 원칙과 함께 “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해 쌍용차를 공기업화하라”고 요구했다.

회사 측은 노조 회견이 끝난 뒤 자료를 내 “사측의 조업과 대화 재개 제안을 노조가 거절해 대화조차 성사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했다”며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 976명에 대한 법적 해고 효력 발생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회사가 노동부에 정리해고 계획을 신고한 지 한 달째인 8일부터 976명은 해고자 신분이 됐다. 회사 측은 당초 2646명에 대한 인력 구조조정 계획 중 희망퇴직자를 뺀 1056명에게 2일 해고 통보를 했다. 이 중 80명이 5일까지 추가로 희망퇴직을 신청함에 따라 최종 정리해고 대상자는 976명이 됐다.

노사 양측은 모두 앞으로도 대화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밝혔지만 양쪽의 견해 차이가 커서 합의 도출에 난항이 예상된다. 쌍용차는 지난달 계속된 노조의 부분파업·총파업의 여파로 현재 생산이 완전히 중단됐다.

회사 측은 노조 파업으로 5월에만 820억원의 매출 손실이 생겼으며 6월 말까지 현재 상태가 이어지면 총 2000억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