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공해 환경호르몬]미국·일본 등 95년부터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다이옥신 등 개별 유해물질을 규제하는 나라는 많지만 환경호르몬 전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중인 나라는 몇몇 선진국 뿐이다.그나마 검사방법이나 허용기준치 설정 등에서 아직 연구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다.

70년대초 처음 '호르몬 작용성 화학물질' 이 유엔에 보고됐지만 본격적인 대응은 지난 95년 시작됐기 때문이다.미국은 지난해 1월 백악관 주최로 워크숍을 가진데 이어 올해는 환경보호청이 독자적인 시험법을 개발, 1만5천여종의 화학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계획이다.

환경보호청은 세포를 이용하는 시험관내 시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태아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기로 했다.조사결과는 구체적인 규제책을 마련하는데 반영될 예정.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도 지난달 회의를 갖고 환경호르몬 검사방법 개발에 나섰다.

환경호르몬이 사회문제로 번진 결과 대대적인 규명작업이 벌어지고 있는 나라는 일본이다.일본환경청은 지난해 말 연구반을 설치해 어류를 대상으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했으며 지난 9일에는 과학기술청이 학계.산업계와 공동으로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자민당 등 연립여당은 정부 부처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올 추경예산에 1백억엔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결정했다.일본의 경우 통산성이 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자적인 검사방법 개발에 나선데다 노동성도 유해 화학물질 제조업체의 노동환경을 재조사중이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이밖에 도쿄도가 환경호르몬 조사를 위해 '환경회의기획조사부회' 를 설치하는 등 각 지방자치단체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도쿄 = 오영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