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소재지 초·중학교 110곳 첨단 ‘전원학교’로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교육여건이 열악한 면 소재지 시골 초·중학교 110곳이 첨단시설을 갖춘 ‘전원학교’로 탈바꿈해 2학기부터 운영된다. 이는 전국 면 단위에 있는 초·중학교(1083개교)의 10%에 해당한다. 이들 학교는 자율학교로 지정돼 교장·교사공모제를 통해 우수한 교원을 유치할 수 있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원학교 육성계획’을 2일 발표했다. 전원학교는 전자칠판·디지털교과서 등 첨단시설을 갖추고 우수한 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농어촌 지역 자율학교(학생수 200명 이하)를 말한다. 교과부의 전우홍 교육복지정책과장은 “도시와 농촌 간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며 “학교 안에 자연체험 학습장, 생태연못, 산책로, 잔디 운동장 등 자연친화적인 시설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첨단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이러닝(e-learning) 학습환경도 만들 예정이다.

교육과정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수준별 영어학습, 체험중심 교육과정, 독서·인성교육, 학력증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규·방과후 학습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도 교육청이 이달 중 자체 평가를 통해 학교를 추천하면 교과부는 사업계획서, 학교장의 의지, 학습 프로그램 등을 심사해 다음 달 초 최종 대상 학교를 선정한다. 선정된 학교에 시설 확충비, 프로그램 운영비 등 학교당 연간 1억원에서 최대 20억원을 2~3년간 지원한다. 3년간 지원 총액은 1393억원이다. 교과부 이상진 교육복지국장은 “지역별 여건에 따라 다양한 전원학교 모델이 나올 수 있다”며 “도시로 떠난 학생이 돌아오는 모델학교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