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연정' 막을 묘책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회의.자민련.국민신당의 연합공천 논의가 급류를 타자 한나라당이 다급해졌다.한나라당은 주요당직자회의와 지방선거전략회의 등을 통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막을 만한 뾰족한 묘수가 없다는 게 고민이다.한나라당은 일단 연합공천의 부당성을 부각하는 정치공세와 국회에서 진행중인 선거법 협상에서 연합공천 금지규정을 관철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맹형규 (孟亨奎) 대변인은 7일 "3당의 연합공천은 정당이 스스로 정당이기를 포기하고 망국적 지역감정을 부추겨 이에 편승하려는 속셈을 드러낸 것" 이라고 주장했다.하지만 여당이 "연합공천 금지규정을 명문화하자" 는 한나라당의 주장을 수용할리가 만무, 법적으로 연합공천을 막기는 무리라는 중론이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연합공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은 한나라당에 대한 3당의 포위망이 형성될 경우 호남.충청권은 물론 수도권과 심지어 텃밭인 영남권을 내줄지 모른다는 판단에서다.특히 지방선거의 승패를 사실상 가르게 될 수도권지역에서 지난 대선 당시 국민신당을 지지했던 개혁성향의 20~30대표가 기존의 호남.충청표에 더해질 경우 패배는 불보듯 뻔하다는 비관적인 전망이다.

하지만 '불리할 게 없다' 는 낙관론도 만만치않게 제기되고 있다.'1여 (與) 다야 (多野)' 의 기존 선거구도가 '1여 1야' 의 1대1 구도로 바뀔 경우 야권성향의 표가 한나라당으로 몰리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에서다.

대선때 이인제 (李仁濟) 후보를 지지했던 표가 국민신당표로 이어질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게 낙관론자들의 주장. 한나라당은 일단 연합공천을 막는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지만 연합공천이 실제 성사될 경우에 대비, 구체적 선거전략 마련도 서두르고 있다.

수도권선거의 경우 자민련을 국민회의의 2중대로, 국민신당을 3중대로 몰아 선거구도를 김대중 (金大中) 정부와 야당의 1대1 승부로 몰아간다는 구상이다.

또 신당의 강세가 예상되는 부산.경남지역에서는 국민신당의 '기생정당' 이미지를 부각시켜 기존 지지층의 표 이탈을 막는데 전력을 다한다는 복안도 갖고 있다.한나라당의 전략이 맞아들어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