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지역 3개 자치단체, 위천공단 조성 저지 공동대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부산시와 울산시, 경남도등 낙동강 하류지역 3개 자치단체가 위천공단 조성을 저지하기 위해 공동 대응키로 했다.

문정수 (文正秀) 부산시장과 심완구 (沈完求) 울산시장, 김혁규 (金爀珪) 경남도지사는 25일 오전 부산시청 시장 접견실에서 대구시의 위천공단 조성과 관련한 대책회의를 갖고 '선수질개선 후공단조성' 방침을 재확인하고 4가지안을 담은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

3개 단체장들은 합의문에서 첫째로 "역대 정부가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의지를 밝혀왔음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수질이 3~4급수로 악화돼 지역 정부의 수질정책에 대한 불신이 깊어만 가고 있다" 고 지적하고 "정부는 낙동강 수질을 1~2급수로 개선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담은 특별대책을 조속히 천명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

또 "중앙정부 차원에서 위천 문제를 둘러싼 부산.울산.경남지역과 대구.경북지역과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광역행정협의회' 를 구성, 합의도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96년 12월 발표한 '낙동강수질 개선 대책' 의 세부내용을 조속히 확정, 수질개선사업 예산의 반영과 사업의 조기집행을 통해 낙동강 수질이 가시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확신을 주는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합의문은 "낙동강은 8백만 주민의 생명수인 만큼 위천공단 지정은 정치적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며 생존권 확보 차원에서 실효성 있는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할 것을 촉구한다" 고 강조했다.

3개 단체장들은 이같은 의지를 관철하기 위해 실.국장급으로 실무협의체를 구성, 공동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위천공단은 대구시가 대구시달성군논공면위천리 일대 210만평에 전자등 첨단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96년3월 정부에 국가공단지정을 요청했으나 부산시와 경남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닥쳐 답보된 상태다.

부산 = 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