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풍공작]수사는 어디까지…'선 진상규명·후 정치인소환' 가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풍 (北風) 공작' 전반에 대해 전면 수사 방침을 밝힌 검찰이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수사를 마무리하기 위한 채비를 차리고 있다.

일단 '선 (先) 진상규명.후 (後) 정치인 소환조사' 로 가닥을 잡은 검찰은 우선 이번주중 단행될 정기인사를 통해 공안수사팀의 진용을 재정비한 뒤 수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수사 주체는 윤홍준 (尹泓俊) 씨의 김대중후보 비방 기자회견사건을 수사해온 서울지검 남부지청과 서울지검 공안1부로 2원화될 전망이다.

남부지청의 역할은 기자회견 부분 보강수사 외에 이대성 전 안기부 해외조사실장이 정대철 (鄭大哲) 국민회의 부총재에게 전달한 '해외공작원 정보보고' 문건의 조작 여부와 유출경위 조사 등이 추가됐다.

남부지청은 특히 尹씨가 세차례의 국내외 기자회견을 통해 시간과 장소까지 적시하며 "김대중후보가 김정일 (金正日) 의 자금을 받고 있다" 는 주장을 펴게 된 과정을 밝혀내면 대선기간중 안기부의 북풍공작 실상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서울지검 공안1부는 ▶이대성 문건에 나타난 정치권의 대북 커넥션▶국민회의 주장대로 안기부의 오익제 (吳益濟) 밀입북 방치 여부▶김병식 편지사건▶한나라당 정재문 (鄭在文) 의원의 베이징 (北京) 대북 접촉▶96년 4.11총선 당시 북한군의 휴전선 진입사건 등을 담당하게 될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오익제 전 천도교교령과 김병식 북한 사회민주당위원장이 각각 북한에서 김대중후보의 승리를 기원하는 편지를 보낸 부분에 대한 수사는 편지 조작 여부 및 국내 유입 경위, 안기부 및 구여권 인사들의 개입 여부에 수사의 초점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선거기간중 북측과 접촉한 정치인 가운데 정치적 목적으로 북측에 돈을 주면서 '북풍' 이나 '역북풍' 을 일으키려 했던 사실이 드러날 경우 여야를 막론하고 사법처리가 불가피할 것" 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