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정기권 도입 진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지하철 정기권 도입을 앞두고 서울시와 철도청, 경기도와 인천시가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 9일 건설교통부 주재로 열린 관련 지자체 및 행정기관 대책회의에서 서울시는 서울시와 경기도.인천시가 각각 정기권을 발행하고, 정기권 이용자가 지자체의 경계를 넘어갈 경우 그 비용을 해당 지자체 간 정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서울시가 정기권 도입 시행을 유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담 기준이나 내용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부담 여부를 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경기도는 "정기권 도입으로 인한 결손금은 국가가, 철도청 구간은 철도청이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철도청은 "정기권 도입 원칙은 찬성하지만 사용거리나 횟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손실을 줄여야 하며 서울시의 '무제한 사용'방침은 반대"라며 이용거리에 따라 현행요금의 90% 수준에서 정기권을 도입하자는 수정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철도청.경기도.인천시와 합의가 되지 않더라도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구간에 대해 당초 예정인 15일부터 정기권을 판매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럴 경우 수도권 국철 구간에서는 이용할 수 없어 '반쪽 정기권'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철도청과 이들 지자체는 12일 건교부 주재로 다시 회의를 열 예정이다.

차진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