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경 5㎞ 내 모닥불 불씨까지 감지 산불 카메라 200대 2013년까지 설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올해만(5월 현재) 466건의 산불이 발생해 571㏊가 잿더미로 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5% 늘어난 수치다. 정부가 타개책으로 ‘열 감지 무인감시카메라’를 도입하기로 했다. 15일 한승수 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다. 올해 시범적으로 10대를 먼저 도입하고 2013년까지 200대를 설치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열 감지 무인감시카메라는 산의 7~8부 능선에 설치된다. 반경 5㎞ 내에서 발생하는 모닥불 크기(1㎡)의 불씨를 찾아낼 수 있다. 발견 즉시 경보음을 울려 초기 대응이 쉽다. 산림청에 별도의 통제센터를 설치해 관리할 예정이다. 장비가격은 대당 4000만원 정도다. 산 중턱까지 전기를 끌어와야 해 설치비용은 1억5000만원 정도가 든다. 총리실 공병도 안전환경정책과장은 “현재 폐쇄회로 TV(CCTV) 300여 대가 설치돼 있지만 육안으로 감시해야 해 실효가 떨어진다”며 “내년까지 우선 100대 정도를 운영해 효과를 분석한 후 최종 사업 규모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 밖에 현재 46대인 산불진화헬기를 2017년까지 60대로 늘리고 산불진화대도 1만2000명으로 2000명 늘리기로 했다. 또 논·밭두렁 태우기와 쓰레기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불이 전체의 30%를 차지하는 만큼 현재 산림 인접지 100m 이내인 논·밭두렁 및 농촌쓰레기 소각금지 범위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방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불조심 기간 중에는 방화·실화범 검거팀을 운영하고 무단 입산, 화기 소지 금지 행위 위반자에 대해서도 관련법을 엄격 적용키로 했다.

한 총리는 “산림은 탄소 흡수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불 예방은 녹색성장의 중요한 대책 중 하나”라며 “산불 대응 보강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도록 관계부처가 적극 협력하라”고 지시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