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소비자 울리는 농산물 유통구조…유통경로 복잡·중간상 폭리 원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잘못된 농산물 유통구조가 농민과 소비자 모두를 우롱하고 있다.

기름값 인상 등으로 생산비는 치솟고 있지만 산지 가격은 오히려 폭락, 농민들의 마음이 멍들고 있다.

그렇다고 소비자들이 싼 값에 물건을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무엇이 잘못됐고 개선방안은 없는지…. 본사 전국 취재반이 점검했다.

편집자

전남 담양군 무정면 영천리에서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김복남 (金福男.42) 씨는 지난 9일 오후 5㎏들이 53상자를 트럭에 실어 서울 가락동의 농수산물도매시장으로 보냈다.

다음날 새벽 열린 경매에서 경락가 (競落價) 는 총 20만7천여원. 상자당 3천9백여원, ㎏당 7백80원 꼴이었다.

하지만 도매시장에서 수수료와 하역비.운송비를 빼고 통장으로 입금시켜준 금액은 총 17만4천여원. ㎏당 6백57원에 불과했다.

“국제통화기금 (IMF) 한파후 기름값 인상으로 비닐하우스 난방비 등 생산비가 30% 이상 늘었습니다.

㎏당 1천5백원 이상이어야 수지가 맞는데 절반도 안되니…. 또 헛농사 지은 셈이지요.”

金씨의 물건을 경매받은 도매인들은 ㎏당 1천~1천2백원에 소규모 재래시장이나 아파트 과일가게에 넘겼다.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에 사는 주부 玄모 (35) 씨는 13일 저녁 집앞 과일가게에서 ㎏당 2천원꼴에 방울토마토를 샀다.

玄씨는 “최근 산지에서 토마토 가격이 폭락, 농민들이 울상이라는 뉴스를 들었는데 왜 이렇게 비싼지 모르겠다” 고 말했다.

제때에 판매되지 않고 재고로 남으면 버려지는 청과물의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소비자들의 실제 구입가격이 경락가의 3배나 돼 소비자와 농민 모두가 왜곡된 유통구조 때문에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

본사 취재반은 9~16일 생산자부터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단계까지의 농산물 유통구조를 직접 추적, 조사했다.

대상 농산물은 현재 산지에서 출하가 한창인 방울토마토. 장미. 상추. 솎음배추 등 4가지였다.

조사결과 최종 소비자 가격이 경매가격의 2~3배에 이르렀다.

경남김해시어방동에서 9년째 장미를 재배하는 윤여림 (尹汝林.60) 씨는 지난 14일 오전 김해시 불암동 영남화훼농협 공판장에 장미 1백여 다발 (다발당 10송이) 을 들고 나왔다.

이날 경매 가격은 다발당 3천5백원 (골드메달. 로바렉스) ~ 5천6백원 (롯데로즈) 선. 지난해 이맘때 같은 종류의 장미 가격 6천~1만원과 비교하면 절반밖에 안되는 가격이다.

尹씨는 농자재.기름값 폭등으로 생산비가 2배 가량 올라 사실상 큰 손해를 보고 판 셈이다.

尹씨의 장미는 부산의 자유.국제 시장 꽃 도매상가에서 한다발에 5천~8천원 선에 거래됐고 이후 부산대학병원 근처 꽃집에서는 8천~1만원에 판매됐다.

전북 완주군 삼례읍에 사는 김영민 (金永民.54) 씨는 지난 16일 상추 4㎏을 1천3백원씩 50㎏을 중간상에 넘겼다.

중간상은 이 상추를 지난 17일 새벽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1천8백원에 팔았다.

이어 제2의 중간상은 슈퍼마킷 등 소매상에 2천4백원에 넘겨 6백원의 마진을 남겼으며 최종적으로 전주 시민들은 2천8백원에 사야 했다.

이밖에 지난 10일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에 출하된 경기도 하남시 한 농민 (34) 의 솎음배추 1백 상자 (상자당 4㎏) 단위의 경매가격은 평균 15만원. 그러나 도매단계에서 35만원, 최종 소매 단계에서 45만원으로 각각 올랐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역대 정권 모두가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외쳤지만 헛구호로 끝났다” 며 “새 정부는 이를 농정 개혁대상 1순위로 삼아 실천가능한 개선안을 마련, 철저하게 추진해야만 왜곡된 유통구조를 바로 잡을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기획취재반 수도권=이규연·배익준, 호남=이해석·서형식, 영남=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